팀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펫시터 사이트를 만들게 되었다. 우려와는 달리 조원들도 참여를 잘 해주셔서 좋은 시작이 될 거 같다. 열심히 해보도록 하자!
소켓의 역할?
현실로 비유하자면 마치 벽에 있는 콘센트 구멍!
우리가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연결부에 해당
네트워크에서의 소켓은?
우리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연결부에 해당
소켓의 종류?
소켓의 역할은 언제나 같지만 대표적으로 TCP, UDP
아주 일반적으로는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TCP 소켓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패킷이 손실되어도 괜찮거나 빠른 전송 속도가 필요한 경우 UDP 소켓을 사용하기도 한다.
패킷이란?
네트워크 소켓이 현실의 콘센트와 비슷하다면, 패킷은 쉽게 말해 콘센트 배선에 흐르는 전기와 비슷하다.
소켓을 통해 송수신하는 데이터 덩어리 하나가 한개의 패킷이라고 표현
Access Token, Refresh Token
💡 Access Token은 사용자의 권한이 확인(ex: 로그인) 되었을 경우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는 용도로 발급
Refresh Token은 Access Token 처럼 해당하는 사용자의 모든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아닌, 특정한 사용자가 Access Token을 발급받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무엇인가
💡 트랜잭션(Transaction)은 작업의 완전성을 보장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특정한 작업을 전부 처리하거나, 전부 실패하게 만들어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해주는 기능
트랜잭션(Transaction)을 이용한다면 사용자가 항상 프로그램 실행을 완료하도록 구성하고, 만약 실행을 중단할 만한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DB에 피해가 가지않아 더욱 안전하게 구성
트랜잭션의 특징(ACID)
💡 트랜잭션의 특징(ACID)은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특징들을 나열해 놓은 개념
ACID는 트랜잭션의 4가지 특징
배열을 순회하면서 특정한 로직을 처리하는 건 map 메서드를 사용한다.
<숙제>
현재까지 쿼리로 되어 있는 내용, 시퀄라이즈로 변경
(파일 분리는 models까지)models까지 나눠보기
쿼리를 함수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연습
잘 읽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