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연계 요구사항 분석

y55n·2022년 3월 25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17/50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험서를 보고 공부한 기록입니다.


👉연계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

  •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 연계 요구사항 분석은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식별되고 시스템 구성도,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등을 참고한다

[분석 기법]

인터뷰

  • 사용자 면담을 통해 연계 요구사항 도출

체크리스트

  • 시스템 운영 환경,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주기 등의 기준에 대한 점검을 통한 분석기법

설문지

  • 서비스 활용 목적에 따라 연계 필요 데이터 식별 및 연계 주기 등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는 기법

델파이 기법

  •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분석 기법
  • 업무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

브레인 스토밍

  • 소속된 인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제시된 아이디어 목록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

[분석 참고 문서]

코드 정의서

  • 공통 코드 정의서(코드 ID, 코드명, 코드설명 등)

테이블 정의서

  • 데이터 모델링 정의서, 테이블/프로세스 연관도, 테이블별 컬럼 속성 정의서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 애플리케이션의 메뉴구성, 화면설계, 데이터 발생 지점, 주기, 발생 패턴 등 확인

시스템 구성도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연계 대상 시스템 구성도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문서

1. 개체(Entity) 정의서

데이터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이다

2. 테이블(Table)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이다
  •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 인덱스(Index),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이다
  • 컬럼의 특성은 컬럼명, 데이터 타입(Type), 길이, 널(Null) 여부, 키(Key) 여부, 디폴트(Default) 값 등을 의미한다

3. 인터페이스(연계) 명세서

인터페이스(연계) 명세서는 인터페이스(연계) 정의서에 작성한 인터페이스 ID 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한다

4. 인터페이스 명세서 구성요소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 주기 등을 기록한 현황을 작성한다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
  •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식별 성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 분류 코드와 연속 번호를 같이 활용함

최대 처리 횟수

  • 단위 시간당 처리될 수 있는 해당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

데이터 크기(평균/최대)

  •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 시 소요되는 데이터의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

시스템 정보(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시스템명, 업무 명, 서비스명/프로그램ID, 연계 방식, 담당자/연락처

데이터 정보(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번호, 필드, 식별자 여부,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 널(NULL) 허용 여부, 항목 설명, 조건, 매핑 규칙, 총길이(Total Length), 추출 조건/SQL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1. 시스템 현황 확인: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네트워크 현황 확인
  2. 정의서 확인: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데이터 관련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확인
  3. 체크리스트 작성: 질의 사항을 시스템(네트워크, 보안 등) 관점과 응용(데이터, 공통 코드 등) 관점에서 연계 분석 체크리스트 작성
  4. 인터뷰 및 면담: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수행하고 회의록을 작성
  5.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연계 시스템 구성 및 데이터 식별에 해당하는 내용에 요구사항 ID를 부여하고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연계 시스템의 구성

연계 시스템은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계 방식에 따라 중계 서버를 둘 수 있다

송신 시스템

  • 연계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시스템

수신 시스템

  • 수신한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중계 서버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 연계 데이터의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등이 가능
profile
나 혼자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