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y55n·2022년 3월 25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18/50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험서를 보고 공부한 기록입니다.


👉연계 데이터 식별

대내외 시스템 연계를 위해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데이터에 대한 상세 식별 정보를 아래와 같이 확인하여 데이터 표준화에 참고한다

[연계 시스템 식별 정보]

  • 대내외 구분 정보: 기업 내부 시스템인지 외부 기관 시스템인지 구분
  • 기관명: 대외 기관일 경우 기관명 기술
  • 시스템 ID: 시스템 식별 체계에 따라 부여된 식별 번호
  • 한글명: 시스템 한글명
  • 영문명: 시스템 영문명(영문 코드)
  • 시스템 설명: 시스템에 대한 업무, 위치 등에 대한 부가 정보
  • 시스템 위치: 시스템이 설치된 위치(노드) 정보
  • 네트워크 특성: 네트워크 속도, 대역폭, 유의사항 등 네트워크 특성
  • 전용 회선 정보: 전용 회선을 사용할 경우 전용 회선 연결 방법과 속도 등의 정보
  • IP/URL: 시스템 접속에 필요한 IP 또는 URL 정보
  • Port: 접속에 필요한 Port 정보
  • Login: 정보시스템 로그인 ID와 암호
  • DB 정보: 데이터베이스 연계 시 필요한 DBMS 유형, DBMS 로그인 정보
  • 담당자 정보: 해당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담당자 연락처

[연계 데이터 범위 검토사항]

👉연계 데이터 표준화

  • 인터페이스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규격화된 표준 형식을 정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 인터페이스 설계 단계에서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 전송되는 표준항목과 업무 처리 데이터, 공통 코드 정보 등을 누락 없이 식별하고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작성해야 한다
  •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표준]

  • 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을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송수신 시스템에서 업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포함
  •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 전송 데이터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종료 표시

[송수신 전문 구성 사례]

전문 공통부(고정)

  • 전문 길이 (10Byte)
  • 시스템 공통 (246Byte)
  • 거래 공통 (256Byte)

전문 개별부(가변)

  • 데이터(n Byte)

전문 종료부(고정)

  • 전문 종료 (2Byte)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1.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시스템 간의 연계하려는 정보를 구체화하여 범위와 항목을 정의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각 항목의 데이터 타입 및 길이, 코드화 여부 등을 확인
    • 송수신 시스템의 연계 항목이 서로 다를 경우 일반적으로 수신 시스템 기준
  2.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연계대상 범위 및 항목 식별 이후, 연게 정보 중 코드로 관리되는 항목을 변환해야 함
    • 코드로 관리되는 정보는 검색 조건으로 활용
  3.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 송수신 정보가 수신 시스템의 어떤 데이터에 해당하는지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신 시스템의 연계 정보에 송신 시스템의 식별 키 항목을 추가
    • 송신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 반영하기 위해서 송신 정보를 수신 시스템의 테이블에 추가, 수정, 삭제할 데이터인지 식별해 주는 구분 정보 추가
    • 연계되는 정보의 송수신 여부, 송수신 일시, 오류 코드 등을 확인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에 관리 정보 추가
  4.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 정의
    • 연계 대상 범위 및 항목, 코드 매핑 방식 등을 정의한 후 연계 데이터를 테이블이나 파일 등의 형식으로 구성
    • 구성된 연계 데이터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연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 연계 주기, 적용되는 연계 솔루션의 지원 기능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 가능
    • 연계 데이터 표현의 기본적인 분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파일의 형식이며, 파일의 경우에는 파일 형식에 따라 태그(Tag), 항목 분리자(딜리미터, Delimiter) 사용 등에 의해 상세화됨
  5.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 연계 항목, 연계 데이터 타입, 길이 등을 구성하고 형식을 정의하는 과정의 결과물로 연계(인터페이스) 정의서 작성
    • 연계(인터페이스) 정의서에는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현황 작성
    • 연계(인터페이스) 명세서는 연계(인터페이스) 정의서에 작성한 인터페이스 ID 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
profile
나 혼자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