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사용자 정의 자료형 활용

y55n·2022년 4월 1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33/50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험서를 보고 공부한 기록입니다.


👉사용자 정의 자료형(User-Defined Types)의 개념

  • 사용자 정의 자료형은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기존 자료형들을 조합해서 만드는 자료형이다
  • 사용자 정의 자료형에는 열거체, 구조체가 있다

👉사용자 정의 자료형 종류

1. 열거체

  • 열거체는 서로 연관된 정수형 상수들의 집합이다
  • 정수형 상수에 이름을 붙여서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해준다
  • C에서는 멤버에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0부터 차례대로 할당된다

▼ C에서 사용하는 enum

enum 열거체명{
	멤버1,
	멤버2,
	...
};

2. 구조체

  • 구조체는 사용자가 기본 타입을 가지고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자료형이다
  • 자바, 파이썬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class를 이용하여 struct 기능을 구현할 수는 있음)

▼ C 언어에서 사용하는 struct

struct 구조체명{
	자료형 변수명1;
	자료형 변수명2;
	...
}:

3. 구조체와 포인터

① 구조체 변수와 구조체 포인터

구조체는 일반 구조체 변수로 접근할 때는 .으로 접근하고, 구조체 포인터로 접근할 때는 ->로 접근한다

② 1차원 구조체 배열과 1차원 구조체 포인터

  • 1차원 구조체 배열에서 배열명만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1차원 구조체 포인터와 동일하다
  • 1차원 구조체 배열일 때 배열명[요소].변수명 형태, (*(포인터+요소)).변수명, 포인터->변수명 형태, (포인터+요소)->변수명 형태로 값을 가리킨다
profile
나 혼자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