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사용자 정의 함수

y55n·2022년 4월 1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34/50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험서를 보고 공부한 기록입니다.


👉main 함수

  • main 함수는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모든 프로그램의 시작점이다
  • main 함수에 있는 명령어를 실행한다

1. C 언어의 main 함수

타입 main(파라미터){
	명령어;
}

void main()일 경우 return 반환값; 을 사용하지 않고, int main()일 경우 return 반환값; 을 명시해주어야 한다

▼ C 언어의 main 함수 형태

void main(){
}
int main(){
	return 반환값;
}

2. 자바의 main 함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명령어;
}

👉사용자 정의 함수

1. 사용자 정의 함수(User-Defined Function) 개념

사용자 정의 함수는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함수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 C, 자바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

반환_데이터_타입 함수명(데이터_타입 변수명, ...){
	명령어;
	return 반환값;
}

▼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

def 함수명(변수명, ...) :
	명령어
	return 반환값

👉함수 포인터

함수 포인터는 함수의 주소를 저장하고, 해당 주소의 함수를 호출하는 데 사용하는 포인터이다

리턴타입 (*함수_포인터)(함수 파라미터);

👉매개변수 전달방법

1. 매개변수 전달(Parameter Passing) 개념

매개변수 전달은 함수가 필요로 하는 값을 매개변수로 만들면 함수를 호출하는 쪽에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해당 함수에 변수의 값, 변수의 주소값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2. 매개변수 종류

  • 전달인자(Argument)
    • 실 매개변수(Actual Parameter)로도 불림
    • 함수가 함수 호출하는 쪽에서 전달받는 변수의 값 또는 변수의 주소값
  • 매개변수(Parameter)
    • 형식 매개변수(Formal Parameters)로도 불림
    • 함수를 호출하는 쪽에서 전달하는 변수의 값 또는 변수의 주소값

3. 매개변수 전달방법

  • Call by Value
    • 변수의 값을 넘겨주고, 이 값은 새로운 공간에 할당되어 사용하는 방식
    • 형식 매개변수의 어떠한 변화도 실 매개변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
  • Call by Reference
    • 변수의 값이 아닌 변수가 사용 중인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넘겨주는 방식
    • 실 매개변수의 주소를 형식 매개변수로 보냄
profile
나 혼자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