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의 Memory Engine과 Redis 비교 + 팀 프로젝트에서 MySQL Memory Engine을 사용하는 이유
SQL 문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버퍼캐시에서 발생한 총 블록 I/O로,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가져온 블록 수를 말한다.물리적 I/O가 일어나더라도 메모리 버퍼캐시에 올라가서 처리되므로 SQL 문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블록 개수로도 볼 수 있다.
로그 버퍼 DB 버퍼 캐시에 가해지는 모든 변경사항을 로그 파일에 기록한다고 설명했다. 로그 엔트리(로그 내의 개별 기록)도 파일에 곧바로 기록하는 것이 아닌라 로그 버퍼에 기록한다. 건건이 기록하는 것보다 배치로 기록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데이터 블록
데이터 파일 Oracle 과 SQL Server 모두 데이터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논리적인 구조도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거의 동일하다. 블록 대부분 DBMS에서 I/O 가 일어나는 단위 하나의 컬럼을 읽더라도 해당 컬럼이 포함된 블록 전체를 읽는다. 데이터를 읽고 쓸 때 사용하는 논리적인 단위 익스텐트 테이블스페이스로부터 공간을 할당...
데이터베이스 엔진(database engine) 다른 말로 스토리지 엔진(storage engine)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레코드 수가 1만, 10만, 100만, 1000만 인 테이블에 인덱스를 사용한 쿼리와 사용하지 않은 쿼리 차이를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