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178. 미로 탐색

bee·2023년 6월 17일
0

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11/16
post-thumbnail

🔎 문제

N×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
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 (1, 1)에서 출발하여 (N, M)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N, M)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N, M(2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예제






풀이1. 미로의 범위를 나누어 푸는 정석적인 방법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maze = [list(map(int, input().rstrip())) for _ in range(n)]

dx = [-1, 1, 0, 0]
dy = [0, 0, -1, 1]

def bfs(x, y):
	queue = deque() # 큐 생성
    queue.append((x, y)) # 큐에 시작좌표 넣기

	while queue: # 큐가 빌 때 까지 반복
    	x, y = queue.popleft() # 큐의 첫번째원소를 꺼내서 x, y에 지정
        
        for i in range(4):
        	next_x = x + dx[i]
            next_y = y + dy[i]
            
            # 미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if next_x < 0 or next_y < 0 or next_x >= n or next_y >= m:
            	continue # 무시
            
            # 벽을 만난 경우(1:통로/ 0:벽)
            if maze[next_x][next_y] == 0:
            	continue # 무시
                
            # 이동 가능한 통로이며 아직 방문하지 않은 노드인 경우
            if maze[next_x][next_y] == 1:
            	maze[next_x][next_y] = maze[x][y] + 1 # 직전 노드까지의 최단거리 + 1 = 현재 노드까지의 최단거리
                queue.append((next_x, next_y)) # 큐에 현재 노드의 좌표 추가
              
	return maze[n-1][m-1] # 인덱스가 [0][0]부터 시작하므로 최종 반환값은 인덱스 [n-1][m-1]
    
# 결과 출력
print(bfs(0,0))

4 6
101111
101010
101011
111011

15






풀이2. 간단하게 작성하는 방법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maze = [list(map(int, input().rstrip())) for _ in range(n)]

dx = [-1, 1, 0, 0]
dy = [0, 0, -1, 1]

def dfs(x, y):
	queue = deque()
    queue.append((x, y))
    
    whlie queue:
    	x, y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ext_x = x + dx[i]
            next_y = y + dy[i]
            
            if 0 <= next_x < n and 0 <= next_y < m and maze[next_x][next_y] == 1:
            	maze[next_x][next_y] = maze[x][y] + 1
                queue.append((next_x, next_y))
                
                
	return maze[n-1][m-1]

print(bfs(0, 0))

4 6
101111
101010
101011
111011

15







✅ 정리

Q. 이 문제에서 DFS가 아니라 BFS를 써야만 했던 이유는?
A. BFS는 최단거리/최소횟수를 구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한 해결법이다.

DFS(깊이 우선 탐색)BFS(너비 우선 탐색)
재귀함수와 백트래킹을 이용하여,
모든 경우를 하나씩 전부 탐색하는 경우
최단거리/최소횟수를 구하는 경우
최적의 답을 찾는 것이 아닌 경우최적의 답을 찾는 경우
(BFS는 가장 처음 발견되는 답이 최단거리이다.)
경로의 특징을 저장해야 하는 경우
(ex. 경로의 가중치, 이동 과정에서의 제약 등)
탐색의 횟수를 구해야 하는 경우
그래프의 크기가 클 경우

Q. input = sys.stdin.readline을 넣어주는 이유는?
A. 반복문을 통해서 input()으로 여러 줄을 입력받을 때 시간초과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함수. 한줄에 여러개의 입력값을 받을 수 있으며,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mport sys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readline()은 개행문자(\n)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고 공백없이 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들이 있다.

  • .rstrip() : 오른쪽 공백을 제거
  • .lstrip() : 왼쪽 공백을 제거
  • .strip() : 양쪽(왼쪽, 오른쪽) 공백을 제거





🔗 references

profile
벌집처럼 밀도있게 차곡차곡 쌓아나가는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