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성과 이름을 변수 선언 후 값을 할당하여
문자열을 서로 합치는 경우 아래처럼 결과값이 나온다.
📌 문자열을 서로 합쳤을때 띄어쓰기 할 경우 + ' ' +
를 넣어주면
결과값에 띄어쓰기가 나타난다.
'2'(문자열) 와 2(숫자)는 다른 의미를 말한다.
따움표가 들어간 '2'는 문자열로 나타내므로 숫자계산이 되지 않는다.
빈 문자열의 경우 length 0
입니다.
내 이름의 전체 문자열 총 길이를 length
를 사용하여 값을 구해보자
📌 문자열의 총 길이를 구할때의 결과값은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나타난다.
📌 변수없이 문자열 console.log(Jeong Yebin.length)
만으로도
같은 결과값이 나온다.
문자열의 길이를 더한 후 숫자2
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해보자
변수 length1 의 문자열 길이 값은 11
변수 length2 의 문자열 길이 값은 14
두 문자열의 합은 25 이므로 나누기 2를 하면 12.5
값이 나온다.
,(콤마) 와 +(플러스) 의 차이점
📌 문자열(string) ,(콤마)
길이(length) 는 문자열 따로 길이의 값 따로 결과값이 나온다.
📌 문자열(string) +(플러스)
길이(length) 는 합친다는 의미로 문자열로 결과값이 나온다.
💻 코딩 검색 Tip
how to ~ 로 시작하여 검색 할 경우 더 좋은 정보가 많이 나온다.
ex) how to add two string data in java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