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 용어를 정리해야 하는 이유
원활한 소통을 위해 용어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GNB(Global Navigation Bar)
웹사이트 최상위 메뉴
모든 페이지 상단에 공통적으로 표시되는 메뉴바에 위치
LNB(Local Navigation Bar)
GNB메뉴 클릭이나 hover 상태에서 보이는 메뉴
서브 페이지, 특정 메뉴로 이동
SNB(Side Navigation Bar) or LNB(Left Navigation Bar)
상단 메뉴를 제외한 좌측 메뉴바
FNB(Foot Navigation Bar),Footer
로고, 주소, 전체 메뉴 영역 등을 배치한 최하단 메뉴
Tab Menu
Tab으로 표현된 병렬형 콘텐츠
클릭하여 화면 전환
FAB(Floating Action Button)
주로 우측 하단에 표시
페이지 내 관련성이 높거나 자주 사용되는 동작을 표시한 버튼
Splash Screen
앱이 시작할 때 보여주는 화면
Hamburger
웹이나 모바일 상단에 위치
전체 메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버튼
Drawer
주로 앱 상단에 위치
열고 닫을 수 있는 방식
Accodian
내용을 펼치고 접을 수 있는 컴포넌트
리스트 형식을 효과적으로 표현
BTN, Button
크게 활성/비활성된 상태로 나뉨
사용자 행동에 따라 다양한 상태로 표현
Label
입력할 정보에 대해 설명해 주는 문구
Text Field
한 줄 텍스트를 입력하는 폼 필드
Place Holder
텍스트 필드 입력을 유도하는 힌트
Text Area
긴 문장의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
Place Holder Images or Avatar
사용자가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공간
Check Box
중복 선택이 가능한 선택 수단
Radio BTN
단일 선택만 가능한 선택 수단
Toggle
활성/비활성된 상태로 표현
Slider
양쪽 끝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움직임
수치 값, 카테고리의 배율을 지정하여 표현
Select Box
사용자가 특정 값을 선택할 때 사용
Drop Down
버튼 뒤로 숨겨진 메뉴를 표현할 때 사용
Progress Bar
작업의 진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때 사용
Loader
화면이 진행 중일 때 보이는 표현 방식
Tooltips
간단한 설명 텍스트가 필요할 때 사용
Carousel
하나의 화면에서 두 개 이상의 콘텐츠를 보여줄 때 사용
주로 콘텐츠를 나열해서 보여줄 때 사용
Navigation
앱 하단에 위치
카테고리와 레이블 함께 표시
Breadcrumbs
현재 위치를 보여줄 때 표시
Pagination
콘텐츠가 많아 스크롤이 길어질 때 표시
Favicon
웹사이트 주소나 브라우저 탭 옆에 나타나는 아이콘
Feature(피처)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하나의 기능 단위
핵심이 되는 기능: Key Features(키 피처)
Feasibility
디자인 - 개발 리소스, 기간, 예산 등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의 실현 가능성
VOC(Voice of Customers)
고객으로부터 접수된 피드백이나 불만, 리뷰 등을 의미
UGC(User Generated Content)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
다른 사용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신뢰로 이끌 수 있음
Fidelity
디자인의 디테일한 정도나 컬러, 폰트 등이 얼마나 최종 디자인에 가까운지를 의미
Low Fielity(Lo-Fi): 최소한의 구성요소는 갖추고 있는 정도
High Fidelity(Hi-Fi): 완성에 거의 가까운 형태
Wireframe(와이어프레임)
아이디어를 표현하거나 피처가 어떤 흐름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는지 표현
주로 기획 단계에서 제작
각 페이지들의 정보와 UI 요소 등에 대한 배치를 표현
Storyboard(SB, 스토리보드)
서비스 각 페이지 구성요소나 콘텐츠의 설명, 페이지 간의 이동 흐름, 로직 등을 기술한 문서
와이어프레임과의 차이점: 시나리오, 플로우, 설명 추가
Prototype(프로토타입)
서비스에 대한 기능 및 사용성 테스트를 위한 움직이는 디자인 시안
어떤 흐름으로 구동되는지 볼 수 있음
Affordance(행동 유도성)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거나, 디자이너의 의도대로 행동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구조도)
서비스 구축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
제품, 서비스를 구성하는 정보의 구조와 우선순위, 흐름의 설계 등을 포함
UT(Usability Testing, 사용성 테스트)
기획/디자인된 프로덕트를 사용자가 의도대로 사용하여 목적한 바를 달성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
평소에 앱이나 웹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종류와 용어를 알게 되었고, 구성요소들의 표현 방법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디자인 시작 전 기획 단계와 디자인 완료 후의 과정에서 진행하는 것들에 대한 용어를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