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
함수format 함수의 값을 전달해주는 방식이다.
print('Username: {}'.format(userName))
print('User age: {}'.format(userAge))
format 함수의 값이 두개인 경우 순차적으로 전달해주는 방식이다.
print('Username: {}, User age: {}'.format(userName, userAge))
format() 함수를 인덱스를 이용하지 않으면 값이 순차적으로 들어간다.
값의 순서를 바꾸고 싶으면 인덱스를 이용해야한다.
첫번째 값은 인덱스가 0이고, 두번째 값의 인덱스가 1, 세번째 값의 인덱스가 2이다.
print('Username: {0}, User age: {1}'.format(userName, userAge))
print('Username: {1}, User age: {0}'.format(userName, userAge))
print('나의 이름은 {}이고, 나이는 {}살 입니다. {} 이름은 제가 고른 영어 이름입니다.'.format(userName, userAge, userName))
print('나의 이름은 {0}이고, 나이는 {1}살 입니다. {0} 이름은 제가 고른 영어 이름입니다.'.format(userName, userAge))
%s
➞ 문자열
%d
➞ 정수
%f
➞ 실수
print('Username: %s' % userName)
print('User age: %d' % userAge)
print('Username: %s, User age: %d' % (userName, userAge))
print('pi: %f' % 3.14)
print('pi: %d' % 3.14)
%.nf
➞ 소수점 n자리 표현
print('pi: %.1f' % 3.14) # 소수 첫번째 자리까지 반올림
print('pi: %.2f' % 3.14) # 소수 두번째 자리까지 반올림
print('pi: %.3f' % 3.14) # 소수 세번째 자리까지 반올림
Q1. 실행 결과가 다음과 같이 출력 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하기
[실행결과]
반지름 입력: 3
원주율 입력: 3.141592
radius: 3.0
pie: 3.141592
radius: 3.0, pie: 3.141592
radius: 3.000000, pie: 3.141592
radius: 3.00, pie: 3.14
radius = float(input('반지름 입력: '))
pi = float(input('원주율 입력: '))
print('radius: %.1f' % radius)
print('pie: %f' % pi)
print('radius: %.1f, pie: %f' % (radius, pi))
print('radius: %.6f, pie: %f' % (radius, pi))
print('radius: %.2f, pie: %.2f' % (radius, 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