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함수를 이용한 기본적인 데이터 출력userName = 'Irene'
print(userName)
userAge = 25
print(userAge)
print('Username: ', userName)
print('User age: ', userAge)
print('Username: ', userName, ', User age: ', userAge)
print('3 * 6 = ', (3 * 6))
Python에서는 알아서 자동 줄바꿈(자동 개행)을 해준다.
print('3 * 5 = ')
print(3 * 5)
사실 실제 코드는 이런 식으로 되어 있다.
print('3 * 5 = ', end = '\n')
따라서, 줄바꿈없이 그대로 이어지게 출력하고 싶다면, end =''
를 쓰면 된다.
print('3 * 5 = ', end = '')
print(3 * 5)
어떠한 데이터를 출력을 하려고 할때 작은 따음표(' ')로 묶고 format의 약자 f를 앞에 기술해준다. 작은 따음표 안에 기술을 할때 문자열이면 기술을 하고 변수명이 있으면 변수명을 중가로({ })를 쳐준다. 그리고 중가로 안에 변수를 넣어주면 된다.
print(f'Username: {userName}')
print(f'User age: {userAge}')
print(f'Username: {userName}, User age: {userAge}')
\t
➞ 탭(Tab)\n
➞ 개행(줄바꿈)print(f'Username: \t{userName} \nUser age: \t{userAge}')
Q1. 실행 결과가 다음과 같이 출력 될 수 있도록 코드 작성하기
[실행결과]
가로 길이 입력: 10.5
세로 길이 입력: 5.5
width: 10.5
height: 5.5
triangle: 28.875
square: 57.75
width: 10.5, height: 5.5
triangle: 28.875, square: 57.55
width: 10.5, height: 5.5
triangle: 28.875, square: 57.75
width = float(input('가로 길이 입력: '))
height = float(input('세로 길이 입력: '))
triangle = width * height / 2
square = width * height
print('width: ', width)
print('height: ', height)
print('trangle: ', triangle)
print('square: ', square)
print('width: ', width, ', height: ', height)
print('triangle: ', triangle, ', square: ', square)
print(f'width: {width}, \theight: {height}')
print(f'triangle: {triangle}, \tsquare: {squ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