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 변환
은 데이터타입을 변환하는 것으로 Python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이용한다.
데이터를 문자(열)로 형 변환을 하면 str()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1) 정수 ➞ 문자(열)
num = 10
print(num)
print(type(num))
num = str(num)
print(num)
print(type(num))
2) 실수 ➞ 문자(열)
pie = 3.14
print(pie)
print(type(pie))
pie = str(3.14)
print(pie)
print(type(pie))
3) 논리 ➞ 문자(열)
flag = True
print(flag)
print(type(flag))
flag = str(True)
print(flag)
print(type(flag))
Q1. 실행 결과를 보고 변수를 형 변환 하기
num1 = 123
num2 = 456
print(num1 + num2)
num1 = x
num2 = y
print(num1 + num2)
[실행결과]
579
123456
x = str(123)
y = str(456)
Q2. 실행 결과를 보고 변수를 형 변환 하기
fNum1 = 3.14
fNum2 = 0.123
print(fNum1 + fNum2)
fNum1 = x
fNum2 = y
print(fNum1 + fNum2)
[실행결과]
3.263
3.140.123
x = str(3.14)
y = str(0.123)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형 변환을 하면 int()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데이터를 실수형으로 형 변환을 하면 float()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1) 문자(열) ➞ 정수
var = '100'
print(var)
print(type(var))
var = int(var)
print(var)
print(type(var))
2) 문자(열) ➞ 실수
var = '100'
print(var)
print(type(var))
var = float(var)
print(var)
print(type(var))
3) 논리 ➞ 정수
True
는 정수 1
에 해당한다.var = True
print(var)
print(type(var))
var = int(var)
print(var)
print(type(var))
False
는 정수 0
에 해당한다.var = False
print(var)
print(type(var))
var = int(var)
print(var)
print(type(var))
4) 논리 ➞ 실수
var = True
print(var)
print(type(var))
var = float(var)
print(var)
print(type(var))
var = False
print(var)
print(type(var))
var = float(var)
print(var)
print(type(var))
Q1. 실행 결과를 보고 변수를 형 변환 하기
str1 = '10'
str2 = '20'
print(str1 + str2)
str1 = x
str2 = y
print(str1 + str2)
[실행결과]
1020
30
x = int(str1)
y = int(str2)
str1 = '10'
str2 = '20'
print(int(str1) + int(str2))
Q2. 실행 결과를 보고 변수를 형 변환 하기
str1 = '10'
str2 = '20'
print(str1 + str2)
str1 = x
str2 = y
print(str1 + str2)
[실행결과]
1020
30.0
x = float(str1)
y = float(str2)
str1 = '10'
str2 = '20'
print(float(str1) + float(str2))
Q3. 실행 결과를 보고 변수를 형 변환 하기
str1 = '3.14'
str2 = '1592'
print(str1 + str2)
str1 = x
str2 = y
print(str1 + str2)
[실행결과]
3.141592
1595.14
x = float(str1)
y = int(str2)
str1 = '3.14'
str2 = '1592'
print(float(str1) + int(str2))
''
: 데이터 없음
1) 빈 문자 ➞ 논리
var = ''
print(var)
print(type(var))
var = bool('')
print(var)
print(type(var))
위와 같이 빈 문자(데이터 없음)는 문자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논리형으로 변환하면 False 값을 준다.
' '
: 공백 데이터 있음
1) 공백 문자 ➞ 논리
var = ' '
print(var)
print(type(var))
var = bool(var)
print(var)
print(type(var))
위와 같이 공백은 문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논리형으로 변환하면 True 값을 준다.
1) 문자(열) ➞ 논리
var1 = 'True'
var2 = 'False'
print(var1)
print(var2)
print(type(var1))
print(type(var2))
var1 = bool(var1)
var2 = bool(var2)
print(var1)
print(var2)
print(type(var1))
print(type(var2))
여기서 False였던 값이 True로 변환된걸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문자열이였던 값을 boolean으로 변환하였기에 문자로 인식하고 True값을 주는거다.
print(var1 + var2)
print(type(var1 + var2))
Q1. 실행 결과를 보고 변수를 형 변환 하기
var1 = 'True'
var2 = 'False'
var1 = x
var2 = y
print(var1 + var2)
print(var1 - var2)
print(var1 * var2)
print(var1 / var2)
[실행결과]
2
0
1
1.0
x = bool(var1)
y = bool(va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