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변수와 타입

김예진·2022년 11월 7일
0

java

목록 보기
5/21
  • 변수란?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붙이는 이름(프로그램은 변수를 통해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음)

  • 변수 선언하는 방법
    타입 변수이름;

Ex)

int name;
int x,y,z;(콤마 사용해서 한꺼번에 선언할 수도 있음)
  • 변수 선언 규칙
  1. 첫번째 글자는 ‘$’, ‘_’ 문자
  2. 영어 대소문자 구분
  3. 문자 수 제한 x
  4. 자바 예약어(이미 의미를 갖고 사용되는 단어) 사용 x
  • 변수에 값 저장
    -> ‘=‘를 사용해 저장함
    (자바는 변수에 값이 저장되지 않으면 변수가 생성되지 않음)
    Ex)
score = 90;
  • 변수 타입
    종류: 정수 타입, 실수 타입, 논리 타입

  • 정수
    byte(1byte)
    short(2byte)
    char(2byte)
    int(4byte)
    long(8byte)

  • 이스케일 문자로 출력 제어
    \t : 탭만큼 띄움
    \n: 줄바꿈
    \r: 캐리지리턴
    \”: “ 출력
    \’ : ‘출력
    \: \출력

  • 실수
    float(4byte)
    double(8byte)
    *float 사용시 리터럴 뒤에 forF 붙여야함 ex) float var = 3.14f;

  • 논리
    boolean(1byte)

  • 자동 타입 변환

  • 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허용 범위가 큰 타입으로 저장될 때 발생
    Ex)
Byte byteValue = 10;
Int intValue = byteValue; //자동 타입 변환됨
  • 강제 타입 변환
    강제 타입 변환은 캐스팅 연산자 괄호 ()를 사용하는데, 괄호 안에 들어가는 타입이 나누는 단위임
    Ex)
Int intValue = 10;
Byte byteValue = (byte) intValue; //강제 타입 변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