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팍님 강의를 참고하여 mustache, java, h2를 이용해 게시판을 만들어보았다.(Client->Server)Client에서 폼 데이터가 전송 하면 Controller는 이 데이터를 객체에 담아 받는다.이때 폼 데이터를 받는 객체를 DTO라고 한다.(Server
쓴 글들을 조회할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어 보았다 mustache(index.mustache) Controller(TestController.java)
작성한 게시글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mustache(update.mustache)Controller(TestController.java)@PathVariable은 Controller에서 파라미터를 받을 때 사용한다\-사용방법-GetMapping의 괄호안에
게시판 삭제 기능을 구현해 보았다나는 삭제 버튼을이렇게 리스트 옆에 넣었다.그래서 먼저 조회 페이지에 삭제 버튼을 만들었다mustache(index.mustache)Controller(TestController.java)리다이렉트란 클라이언트에게 재요청을 지시하는 것이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붙이는 이름(프로그램은 변수를 통해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음)변수 선언하는 방법타입 변수이름;Ex)변수 선언 규칙첫번째 글자는 ‘$’, ‘\_’ 문자영어 대소문자 구분문자 수 제한 x자바
웹개발의 봄, spring 강의를 듣고 api 호출 연습을 해보았다먼저 dto, entity, repository를 만들어준다dto@RequiredArgsConstructor: 생성자들을 자동으로 생성entity@Generated Value (Strategy = Gen
웹개발의 봄 spring 강의를 참고하여 타임라인 웹 서비스를 만들어보았다api 설계는 이렇다그리고 repository를 만들어 주었다entitypublic class Memo extends Timestamped이 부분이 확실하게 이해가 되지 않아서 구글에서 개념을 좀
Service 부분을 만들어보았다service그리고 Memo.java에 update를 추가해주었다
인텔리제이를 실행하니 Process 'command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zulu-8.jdk/Contents/Home/bin/java''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이런 오류가 났다해결방법단축
웹개발의 봄 spring 강의를 참고해 네이버 api를 사용해보았다https://developers.naver.com/main/먼저 위에 링크에 접속해서서비스 api를 클릭한다그리고 오픈 api 이용 신청을 클릭한다Application등록을 클릭한다애플리케이션
문제1) 다음 코드를 실행하면 출력 결과로 5를 기대했는데 4가 출력되었습니다 어디에서 잘못 작성된 것일까요?int형 변수는 저장시 소숫점 아래가 사라진다 따라서 위코드는 이렇게 실행된다출력 결과로 5가 나오게 하고 싶다면 이렇게 하면 된다문제2) 다음 코드를 실행했을
어떠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소스 코드로 묶어놓고 필요에 따라 동작하는 기능리턴타입 메소드이름 ( 매개변수선언, ... ){ 실행할 코드를 작성하는 곳 . .}🫧메소드는 선언부(리턴타입, 메소드 이름, 매개변수 선언)와 실행 블록(메
✨연관관계 매핑이란? -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를 매핑하는 것을 말함 -연관관계는 방향, 연관 관계의 주인, 다중성을 고려해야 함 ✨단방향, 양방향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 쪽 테이블 조인이 가능함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단방향이니 양방향이니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프링에서 자바 객체들을 관리하는 공간을 말함\-자바 객체를 스프링에서 빈(Bean)이라고 하는데, 스프링 컨테이너에서는 이 빈의 생성부터 소멸까지를 개발자 대신 관리해주는 곳이라고 할 수 있음\-스프링 컨테이너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
\-사전적 의미로는 '주석', 자바에선 특별한 의미를 담은 주석\-즉 자바코드에 주석처럼 달아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자바나 스프링이 제공해주는 것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만들수도 있음@Component :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Class를
\-@Valid는 빈 검증기(Bean Validator)를 이용해 객체의 제약 조건을 검증하도록 지시하는 어노테이션먼저 의존성을 추가한다(gradle형식)예를 들어 @NotNull 어노테이션은 필드의 값이 null이 아님을 확인하도록 하며 @Main은 해당 값의 최솟값
✨SOLID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지켜야하는 5대 원칙으로 각각 SRP(단일 책임 원칙), OCP(개방-폐쇄 원칙), LSP(리스코프 치환 원칙), DIP(의존 역전 원칙), ISP(인터페이스 분리 원칙)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어졌음 -SOLID 원칙을 철저
\-실체 클래스가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필드와 메소드들을 정의해놓은 추상적인 클래스이다\-실체 클래스의 멤버를 통일하는 데 목적이 있다\-모든 실체들이 가지고 있는 메소드의 실행 내용이 동일하다면 추상 클래스에 메스드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실체 클래스를 설계하는 사람이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또는 개발자의 잘못된 코딩으로 인해 발생하는 프로그램 오류\-예외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은 곧바로 종료된다는 점에서 에러와 비슷하지만 예외는 예외처리를 통해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 정상 실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음\-일반 예외(컴파일러 체
✨프록시 패턴이란?프록시(Proxy)는 사전적 용어로 대리인 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프록시 패턴이라는 용어를 본래 자신이 해야할 역할을 다른 무언가가 대신 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접근할 수 있음프록시 패턴은 어떠한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용도로 객체의 대리인 역할
✨싱글톤 패턴이란?하나의 클래스에 오직 하나의 객체 인스턴스만 가지는 패턴하나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놓고 해당 인스턴스를 다른 모듈들이 어디에서든 공유하며 접근, 사용할 수 있음싱글톤 패턴으로 만들어진 클래스는 생성자가 여러번 호출 되더라도, 실제로 생성되는 객체는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