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액트, 뷰, 앵귤러 등 가상 DOM을 이용하는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를 사용
▪ npm, yarn 등 패키지 관리자 사용
▪ 주로 ES2015(ES6) 이후의 표기법 사용
▪ 웹팩, gulp 등 모듈 핸들러 사용 => 개발할 때는 파일을 나누고 프로덕션용으로 빌드할 때는 파일 하나로 모으기
▪ 바벨 등 트랜스파일러 사용 => 자바스크립트 표기법을 브라우저에서 실행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
▪ SPA로 작성 => HTML 파일이 하나이며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 DOM을 바꿔 써서 화면 이동을 구현하는 것이 기본
▪ let, const를 사용한 변수 선언
▪ 화살표 함수
▪ class 구문
▪ 분할 대입
▪ 템플릿 문자열
▪ 스프레드 구문
▪ Promise
▪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