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에서 잠재 고객 활용하는 방법

나나·2025년 5월 23일
0

Dive Deeper Into GA4 Data And Reports

주요 이벤트

주요 이벤트를 설정해서 이를 중심으로 트래픽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주요 이벤트는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 내 비즈니스의 성공에 중요한 액션은 무엇일까?
  • 내 사이트 경험이 주요 이벤트를 유도하는가?
  • 주요 이벤트를 유도하는 이벤트는 무엇인가?
  • 소셜 포스트가 주요 이벤트를 유도하는가?


예를 들어, 어떤 페이지가 submission을 일으키는지 살펴보기 위해 보고서 탭에서 key event를 form_submission으로 변경하여 볼 수 있습니다.

report 커스텀

기본 제공 보고서와 목적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자 지정 리포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커스텀 리포트는 라이브러리에 저장해서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특정 고객 군집에 대한 리포트가 될 수 있습니다.

collection

각 속성에 7개의 collection을 만들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목적에 맞게 collection을 구성한 후 게시하면 보고서 탭의 메뉴에 해당 collection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특정 주제를 가지고 GA를 분석하는 경우, 이를 활용하면 편리할 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학회에서 중요한 학회원 모집의 경우 별도의 collection을 만들어 관리하면 더 효율적으로 피드백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채용 때 적용해보고, 타팀이 GA를 잘 모르더라도 보고서만을 보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유저 segment, audience

유저 세그먼트를 나누면 더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GA에서 잠재고객을 정의해서 보다 더 정교한 분석을 가능하도록 합니다.

  • audience(잠재고객): 우리가 정의한 특징 1개 이상을 가진 우리 사이트의 유저
    유저가 우리의 사이트를 방문할 때 우리가 정의한 특징과 매치하고 이에 해당한다면 고객에 추가됩니다.
  • predictive audience: 우리가 예측한 metric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유저
    예를 들어, likely 7-day purchasers를 다음 7일 내에 구매하는 유저라고 정의하고 이를 만족하는 지 확인합니다.

잠재 고객을 설정하는 것은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segment 생성 화면에서 특정 segment를 잠재 고객으로 설정
2. 탐색 탭에서 만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 고객 설정
3. 설정에서 잠재고객 builder 활용

그 중 segment를 활용하는 1번 방식은

이렇게 지정한 세그먼트를 바로 잠재 고객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추가 설정에서 잠재고객 트리거를 활용하면 유저가 잠재 고객에 추가될 때마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보고서에서 해당 이벤트를 가지고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2번 방식은

탐색 탭에서 퍼널 분석을 한다고 하면 이때 최종 단계 이전에서 이탈한 고객을 잠재 고객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퍼널 분석에서 더 나은 분석이 가능하겠네요.

예를 들어, 채용 분석에서 잠재 지원자를 위와 같이 설정하여 면접 일정이나 홍보 일정 수립에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구글 Ads와 연동

광고 탭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Campaign performance
  • Return on Ad Spend (ROAS)
  • Attribution: 어떤 캠페인이 가치있는 유저 행동을 일으켰는지 확인
  • Attribution path: 고객 여정을 파악

현재 분석하고 있는 웹사이트는 학회 웹사이트나 내 블로그이기 때문에 구글 Ads와 연동할 일이 없습니다. 하지만, 실무에서 다루게 되면 이를 연동해서 광고와 관련해서 더 폭넓은 분석이 가능할 거 같습니다.

profile
데이터에서 의사결정으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