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JSX(혹은 TSX)는빈 태그(Fragment), Null , undefined모두 반환할 수 있다. 셋의 공통점은 페이지에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화면에 보이지 않으니, 아무거나 갖다 써도 상관없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이번 포스트는 세 가지를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인 React는 빠른 렌더링이 특징이다. 여기서 빠른 렌더링이란, 규모가 작은 프로젝트보다 큰 프로젝트일 경우 체감이 더 잘 된다.그 이유는, 리액트는 자바스크립트의 기존 렌더링 방식과 다른 렌더링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인데,
React에서 javascript의 map과 filter메서드를 활용해 배열에서 데이터를 파싱하여 컴포넌트로 렌더링 할 수 있다. 이 때, 깨름칙하게 나타나는 warning 문구를 볼 수 있다.Error도 아니고 Warning은 뭘까? 일단, 해당 컴포넌트는 제대로 동
상태 React에서 상태란, 변수와 같이 사용되고 변수와 달리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렌더링 혹은 어떠한 동작을 하는데,
Fragment 리액트 사용 유저라면
개요 리액트를 사용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useState훅을 사용하면서 상태를 이용하고 이를 변수처럼 사용하면서 상태를 갱신하고 컴포넌트가 효율적인 렌더링이 되게끔 개발을 했을 것이다. 이렇게 컴포넌트 내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지역상태라고 표현한다. 지역 상태가 있으
취준생으로써 작은 단위에 프로젝트만 진행하다 보니 전역 상태를 사용할 일이 많지 않았다. 웬만한거는 모두 props나 애초에 전역 상태를 사용할 정도로 컴포넌트 단위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만약 사용할 일이 있다면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학습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안일한
리액트를 사용하는 팀에 면접을 보게 되면 항상 받는 질문인 가상 DOM. 어렴풋이 알고 있는 내용을 정리해보자면,웹 브라우저는 Real DOM을 사용하지만, 리액트는 가상 DOM을 사용한다.가상 DOM은 비교(diffing)단계에서 바뀐 노드를 파악하여 해당 노드만 변
개요 이번에 맡게 된 업무는 홈 페이지 스타일링 및 컴포넌트화였다. 스타일링을 먼저 마친 후에 컴포넌트 분할하는 스타일이라 모든 스타일링을 마친 후 컴포넌트화를 하는 단계 중 맞딱뜨린 고민이 있었는데... layout에서 300줄이 넘던 뷰 및 데이터 패칭 코드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