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 + SWAP + RDS + Jenkins (2)

yeonn·2024년 1월 16일
0

백엔드 서버 구축

목록 보기
2/3

이전 피드에 기록했던 AWS EC2 서버 생성에 이어서
이번에는 서버 내에 메모리를 늘려주기 위한 SWAP 메모리 설정에 대해 기록해보려 한다.

SWAP 메모리 설정

(1) Ubuntu 서버 접속

ssh -i [.pem 키 페어 파일 경로] [ubuntu@탄력적 IP 주소]

먼저 터미널에서 Ubuntu 서버에 접속해준다.
(명령어 입력 시 대괄호는 빼고 입력한다.)

(2) SWAP 메모리 할당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28M count=16

SWAP 메모리를 할당해준다.
128씩 16개의 공간을 만드는 것이여서 count를 16으로 할당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되면 2GB 정도 차지하는 것이다.

(3) 읽기 및 쓰기 권한 업데이트

sudo chmod 600 /swapfile

swapfile에 대한 읽기 및 쓰기 권한을 업데이트 해준다.

(4) SWAP 영역 설정

sudo mkswap /swapfile

서버에 SWAP 영역을 설정해준다.

(5) SWAP 공간에 swapfile 추가

sudo swapon /swapfile

SWAP 공간에 swapfile을 추가해 해당 파일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6) 프로시저 확인

sudo swapon -s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 지금까지 진행된 절차가 성공했는지 확인해준다.

(7) fstab 파일을 편집 및 swapfile 활성화

sudo nano /etc/fstab

위의 명령어를 통해 fstab파일로 경로를 이동해준다.
경로 이동 후, ctrl + o(영어 o) 을 눌러 편집기 모드를 실행해준다.
편집기 모드에서 아래 내용을 가장 마지막 줄에 입력해 추가해준다.

/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 

추가 후, ctrl + x(영어 x) 를 눌러 편집기 모드를 빠져나오고 서버를 종료해준다.
(편집기 모드를 빠져나오면 추가해준 내용이 자동으로 저장된다.)

(8) SWAP 메모리 생성 확인

Ubuntu 서버에 다시 접속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SWAP 메모리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해준다.

sudo free -h


이렇게 SWAP 메모리의 용량이 보이면 성공적으로 SWAP 메모리가 서버에 생성되었다🥹

다음 피드에서는 RDS를 생성하고 서버와 연결하는 내용에 대해 기록해보겠다.


레퍼런스
참고1_SWAP 메모리 생성
참고2_SWAP 메모리 생성

profile
개발자에 꽉 눌러 붙은 국문과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