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변수와 메소드를 정의하는 일종의 틀로, 객체를 정의하기 위한 상태(멤버 변수)와 메소드(함수)로 구성됩니다.
즉 클래스는 물건을 만드는 설명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무에선 사용자나 물건같이 동일한 종류의 객체를 여러개 생성해야 하는 경우에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이번에 클래스의 기본적인 문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1-01-class-and-oop
폴더를 새로 생성해주고 안에 index.js
파일을 생성해줍니다.
class Monster {
power = 10
constructor(attackStep) {
if(attackStep) this.power = attackStep
}
attack() {
console.log('공격하자!!')
console.log('내 공격력은' + this.power + '이야!')
}
fly() {
console.log('날아서 도망가자!')
}
}
const monster1 = new Monster()
monster1.attack()
monster1.fly()
const strongMonster = new Monster(50)
strongMonster.attack()
strongMonster.fly()
new Monster()
: new 연산자와 생성자 함수를 사용해 새로운 객체를 생성했습니다.
Monster 클래스
를 만들어서 attack()
메소드와 fly()
메소드를 만들었습니다.
constructor()
는 new
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됩니다.
strongMonster
는 넘겨받은 인수와 함께 constructor
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이때 인수 50이 attackStep
이라는 이름으로 this.power
에 할당됩니다.
monster.attack()
: 같은 방법으로 객체 메소드를 사용했습니다.
꼭 위와 같이 작성후에 파일을 실행시켜보세요.
/**
class Date{
getFullYear(){
}
getMonth(){
}
}
**/
const aaa = new Date()
console.log(aaa.getFullYear())
aaa.getMonth()
aaa
에 Date 객체
를 할당하면 aaa
는 .getMonth
와 .getFullYear
객체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ate라는 클래스와 객체 메소드를 만든 적이 없지만 자동으로 내장해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객체를 내장 객체라고 합니다.
이제 class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을 숙지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객체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 한 것을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라고 합니다.
이제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추상화(Abstraction)
2. 캡슐화(*Encapsulation)
캡슐화란 하나의 객체에 대해 그 객체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필요한 변수나 메소드를 하나로 묶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보은닉
캡슐화는 정보은닉을 통해 높은 응집도와 낮은 결합력을 갖게 합니다.
3. 상속성(Inheritance)
상속이란 기존 상위 클래스에 근거하여 새롭게 클래스와 행위를 정의할 수 있게 도와주는 개념입니다.
4. 다형성(polymorphism)
다형성은 상속을 통해 기능을 확장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즉, 다형성은 형태가 같은데 다른 기능을 하고 서로 다른 클래스의 객체가 같은 메시지를 받았을 때 각자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능력입니다.
오버라이딩(Overriding)
오버로딩(Overloading)
새로운 폴더 11-02-express-1
을 만들어주세요.
초기화를 통해 package.json
을 생성해주고 "type": "module"
을 추가해주세요.
그리고 express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주세요.
{
"name": "11-02-express-1",
"version": "1.0.0",
"main": "index.js",
"license": "MIT",
"type": "module",
"dependencies": {
"express": "^4.18.2"
}
}
index.js
파일을 생성해주시고 아래의 코드를 입력해주세요.
import express from "express";
const app = express();
// 상품 구매하기
app.post('/product/buy', function (req, res) {
res.send('상품을 구매합니다.');
});
// 상품 환불하기
app.post('product/refund', function (req, res) {
res.send('상품을 환불합니다');
});
app.listen(3000);
실제 DB와 연결은 안되지만 express를 이용해 상품 구매하기, 상품 환불하기 API를 만들어주세요.
11-03-express-2
폴더를 복사하여 사본을 만든 후 폴더명을 11-03-express-2
로 변경해주세요.
이번에는 이전에 작성해놓았던 index.js
에서 API에 검증하는 코드를 추가하겠습니다.
import express from "express";
const app = express();
// 상품 구매하기
app.post('/product/buy', function (req, res) {
// 1. 가진돈 검증하는 코드 (10줄)
// ...
// ...
// ...
// ...
// ...
// ...
// ...
// ...
// ...
// ...
// 2. 판매여부 검증하는 코드 (10줄)
// ...
// ...
// ...
// ...
// ...
// ...
// ...
// ...
// ...
// ...
// 3. 상품 구매하는 코드
// if(돈있음 && 판매중) {
res.send('상품을 구매합니다.');
// }
});
// 상품 환불하기
app.post('product/refund', function (req, res) {
// 1. 판매여부 검증하는 코드 (10줄)
// ...
// ...
// ...
// ...
// ...
// ...
// ...
// ...
// ...
// ...
// 2. 상품 환불하는 코드
// if(판매완료) {
res.send('상품을 환불합니다');
// }
});
app.listen(3000);
실제로 검증하는 로직을 작성하지 않았지만 핵심은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을 하지 않으면 이렇게 코드의 길이가 길어져 가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을 사용하여 API를 작성해보겠습니다.
11-03-express-2
폴더를 복사하여 사본을 만든 후 폴더명을 11-04-express-2-with-oop
로 변경해줍니다.
기존에 작성했던 API를 수정하겠습니다.
product.js
파일을 만들어서 판매 여부를 검증하는 기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export class ProductService {
checkSoldout() {
// 판매여부 검증하는 코드(10줄)
// ...
// ...
// ...
// ...
// ...
// ...
// ...
// ...
// ...
// ...
}
}
ProductService
라는 class를 만들었습니다.
판매 여부를 검증하는 코드를 checkSolout()
라는 객체 메소드에 만들었습니다.
외부에서 불러올 수 있도록 class 앞에 export
해주었습니다.
cash.js
파일을 만들어서 가진돈을 검증하는 기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export class CashService {
checkValue() {
// 1. 가진돈 검증하는 코드(10줄)
// ...
// ...
// ...
// ...
// ...
// ...
// ...
// ...
// ...
// ...
}
}
CashService
라는 class를 만들었습니다.
가진 돈을 검증하는 코드를 checkValue()
라는 객체 메소드에 만들었습니다.
외부에서 불러올 수 있도록 class 앞에 export
해주었습니다.
index.js
파일을 수정하겠습니다.
import express from "express";
import { ProductService } from './product.js';
import { CashService } from './cash.js';
const app = express();
// 상품 구매하기
app.post('/product/buy', function (req, res) {
// 1. 가진돈 검증하는 코드 (10줄 => 2줄)
const moneyService = new CashService();
const hasMoney = moneyService.checkValue(); // true or false
// 2. 판매여부 검증하는 코드 (10줄 => 2줄)
const productService = new ProductService();
const isSoldout = productService.checkSoldout(); // true or false
// 3. 상품 구매하는 코드
if(hasMoney && isSoldout) {
res.send('상품을 구매합니다.');
}
});
// 상품 환불하기
app.post('product/refund', function (req, res) {
// 1. 판매여부 검증하는 코드 (10줄 => 2줄)
const productService = new ProductService();
const isSoldout = productService.checkSoldout(); // true or false
// 2. 상품 환불하는 코드
if(isSoldout) {
res.send('상품을 환불합니다');
}
});
app.listen(3000);
상품을 구매하는 기능에 가진 돈을 검증하기 위해 new
연산자를 통해서 CashService()
를 moneyService
변수에 할당했습니다.
moneyService
는 checkValue()
객체 메서드를 사용해 가진돈을 검증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판매여부 검증을 하게 됩니다.
상품 환불하기 기능에 동일하게 판매 여부를 검증해야 하는데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동일하게 메서드를 재사용이 가능하고 추후에 유지 보수도 간편합니다.
한 눈에 봐도 메인 index.js
파일이 간편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이나 어떤 특정한 것을 개발하는 중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해서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해서 쓸 수 있는 것을 정리하여 특정한 "규약"을 통해 쉽게 쓸 수 있는 형태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디자인 패턴에는 스트래티지 패턴, 옵저버 패틴 등등 정말 여러가지가 있고 그 중에 하나가 MVC 패텬입니다.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입니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3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입니다.
위의 그림처럼 사용자가 controller를 조작하면 controller는 model을통해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시작적인 표현을 담당하는 View를 제어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사용자가 보는 페이지, 데이터 처리, 그리고 이 2가지를 중간에서 제어하는 컨트롤, 이 3가지로 구성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면 각각 맡은 바에만 집중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공장에서도 하나의 역할들만 담당을 해서 처리를 해서 효육적이게 됩니다.
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로 분리되어 각자의 역할에 집중해 개발하다면, 유지보수성,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 그리고 유연성이 증가하고, 중복코딩이라는 문제점 또한 사라지게 됩니다.
11-05-mvc-tight-coupling-with-product
폴더를 새로 생성해주세요.
초기화를 해주고 package.json
파일에 "type": "module"
을 추가해주세요.
Node.js 환경에서 11-05-mvc-tight-coupling-with-product
의 디렉토리 구조는 위와 같습니다.
이전에는 cash.js
와 product.js
에 상품 검증과 가진 돈 검증을 진행했었습니다.
보통 MVC 패턴에서는 이런 로직을 비즈니스 로직이라고 하며, service라고 칭하여 작성합니다.
// product.service.js
export class ProductService {
checkSoldout() {
// 판매여부 검증하는 코드
}
}
// cash.service.js
export class CashService {
checkValue() {
// 1. 가진 돈 검증하는 코드
}
}
cash.service.js
와 product.service.js
파일을 위와 같이 만들어줍니다.
위치는 디렉토리 구조를 참고하여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전에는 index.js
에 모든 API 요청에 대해서 라우팅을 해서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시켰습니다.
이렇게 되면 가독성이 저하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기능에 따라 route 경로를 분리합니다.
즉 route에 따른 controller를 작성합니다.
// product.controller.js
import { ProductService } from './services/product.service'
import { CashService } from './services/cash.service'
export class ProductController {
buyProduct(req, res) {
// 1. 가진 돈 검증하는 코드
const moneyService = new CashService()
const hasMoney = moneyService.checkValue() // true or false
// 2. 판매여부 검증하는 코드
const productService = new ProductService()
const isSoldout = productService.checkSoldout() // true or false
// 3. 상품 구매하는 코드
if(hasMoney && !isSoldout) {
res.send('상품을 구매합니다.')
}
}
refundProduct(req, res) {
// 1. 판매여부 검증하는 코드
const productService = new ProductService()
const isSoldout = productService.checkSoldout()
// 2. 상품 환불하는 코드
if(isSoldout) {
res.send('상품을 환불합니다.')
}
}
}
buyProduct
는 cashService
와 productService
를 변수로 생성하고, 직접 사용하는데 이런 관계를 의존관계(dependency)라고 합니다.
위와 같이 controller
내부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변수로 선언하여 사용함에 따라 강하게 결합(Tight Coupling)하며 높은 의존성을 갖고 있습니다.
// index.js
import express from "express";
import { ProductController } from './mvc/controllers/product.controllers.js'
const app = express()
// 상품 API
const productController = new ProductController()
app.post('/product/buy', productController.buyProduct)
app.post('/product/refund', productController.refundProduct)
app.listen(3000)
index.js
에서 endPoint 별로 분리하여 라우팅 핸들링을 해줍니다.
즉, endPoint 별로 분리하여 controller를 실행시켜줍니다.
11-05-mvc-tight-coupling-with-product
폴더를 복사하여 사본을 만들고 폴더명을 11-06-mvc-tight-coupling-with-product-coupon
으로 변경해주세요.
이번에는 쿠폰을 구매하는 기능을 추가하겠습니다.
coupon.controllers.js
파일을 /mvc/controllers/coupon.controllers.js
에 만들어주세요.
import { CashService } from './services/cash.service.js'
export class CouponController {
buyCoupon(req, res) {
// 1. 가진 돈 검증하는 코드
const moneyService = new CashService()
const hasMoney = moneyService.checkValue() // true or false
// 2. 쿠폰 구매하는 코드
if(hasMoney) {
res.send('쿠폰을 구매합니다.')
}
}
}
MVC 패턴을 적용했기 때문에 가진 돈을 검증하는 비즈니스 로직인 CashService를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buyCoupon
객체 메서드도 **비즈니스 로직을 변수로 선언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강한 결합(Tight Coupling)으로서 높은 의존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제 라우팅을 핸들링할 수 있게 index.js
에도 추가해 보겠습니다.
import express from "express";
import { ProductController } from './mvc/controllers/product.controllers.js'
import { CouponController } from './mvc/controllers/coupon.controllers.js'
const app = express()
// 쿠폰 API
const couponController = new CouponController()
app.post('coupon/buy', couponController.buyCoupon)
// 상품 API
const productController = new ProductController()
app.post('/product/buy', productController.buyProduct)
app.post('/product/refund', productController.refundProduct)
app.listen(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