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는 코드가 계산되어 값을 만드는 것입니다.
[1, 2+3]
> [1,5]
[1, 2, [3, 4]]
> [1, 2, Array(2)]
[1, 2, ...[3, 4]]
> [1, 2, 3, 4]
const a = 10;
const add10 = a => a+10;
const r = add10(a);
console.log(r); // 20
const f1 = () => () => 1; // 3번
log(f1());
const f2 = f1(); // 1번
함수를 값으로 다루는 함수
1. 함수를 인자로 받아서 실행하는 함수
const apply1 = f => f(1);
const add2 = a => a + 2;
console.log(apply1(add2); // 3
console.log(apply1(a => a - 1)); // 0
const times = (f, n) => {
let i = -1;
while(++i < n) f(i);
}
times(log, 3); // 0, 1, 2
times(a => log(a+10), 3); // 10, 11, 12
2. 함수를 만들어 리턴하는 함수
= 클로저를 만들어 리턴하는 함수
const addMaker = (a) => (b) => a + b;
const add10 = addMaker(10);
console.log(add10); // b => a + b
렉시컬 환경(Lexical environment)
내부 함수가 선언됐을 대의 스코프
// 함수를 인자로 전달받고 함수를 반환하는 고차 함수
// 이 함수가 반환하는 함수는 클로저로서 카운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유 변수 counter을 기억한다.
function makeCounter(predicate) {
// 카운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유 변수
var counter = 0;
// 클로저를 반환
return function () {
counter = predicate(counter);
return counter;
};
}
// 보조 함수
function increase(n) {
return ++n;
}
// 보조 함수
function decrease(n) {
return --n;
}
// 함수로 함수를 생성한다.
// makeCounter 함수는 보조 함수를 인자로 전달받아 함수를 반환한다
const increaser = makeCounter(increase);
console.log(increaser()); // 1
console.log(increaser()); // 2
// increaser 함수와는 별개의 독립된 렉시컬 환경을 갖기 때문에 카운터 상태가 연동하지 않는다.
const decreaser = makeCounter(decrease);
console.log(decreaser()); // -1
console.log(decreaser()); // -2
makeCounter
를 호출해 함수를 반환할 때 반환된 함수는 자신만의 독립된 렉시컬 환경을 갖는다.
이는 함수를 호출하면 그때마다 새로운 렉시컬 환경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위 예제에서 변수 increaser
와 decreaser
에 할당횐 함수는 각각 자신만의 독립된 렉시컬 환경을 갖기 때문에 자유 변수 counter
를 공유하지 않아 증감이 연동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