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개발자로 해커톤을 다니면서 많은 로그인 로직을 만들었다.
크게 문제가 없는 이상 로직은 매번 동일했고 코드 조각들을 복붙하는게 일상이였다.
그러던 어느날 미리 프로젝트를 만들어두고 그걸 바탕으로 위에 로직을 덛 붙히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해서 만든 AuthTemplate 만들었다.
깃허브에는 Template라는 기능이 존재한다.
포크를 하거나 Clone을 한 뒤 작업을 하는게 아니라 프로젝트 세팅을 Template라는 것으로 할 수 있는거다.
기존 레포지토리를 들어가 Settings을 클릭한 뒤 아래화면처럼 나오는 걸 볼 수 있을거다.
Repository name 아래에 Template repository를 체크하면 그 레포는 템플릿으로 지정된 것이다.
다시 코드로 돌아와
오른쪽 Star 옆에 못보던 Use this template 버튼이 생겼을 것인데 그걸 클릭한 뒤 Create a new repository 를 클릭하게 된다면 템플릿 레포를 기준으로
새로운 레포지토리가 생성된다.
(생성한사람 커밋만 남지 기존 프로젝트를 한 사람의 커밋이 생기진 않는다, 커밋도 0부터 시작)
Authtemplate을 기준으로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생성해보았다.
짜란 커밋이 1부터 시작하는걸 알 수 있다. (이 커밋은 생성할때 생기는거라 본인 커밋으로 기록됨)
다만 generated from 가저온사람깃허브ID/이름은 뜬다는 사실
저의 Kotlin + Spring + JWT AuthTemlate 도 구경오세요!
https://github.com/yeseong0412/AuthTemplete
위에 레포에 관련된 글입니다.
https://velog.io/@yeseong0412/Spring-서버개발하면서-아직-JWT를-모른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