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장치와 연결하여 명령 프롬포트(Commend) 형식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도구안드로이드 SDK에 포함되어있음commend line에서 adb를 직접 사용하려는데 스튜디오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유용기기로 하기 힘들거나 할 수 없는 작업들을 간단히 수행
logcat : android에서 로그를 캡쳐하기 위한 daemon daemon :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돌면서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클라이언트 : 명령을 보냄, 명령을 실행하여 명령줄 터미널에서 클라이언트를 호출데몬(adbd) : 장치
프래그먼트의 생명주기를 따르면, onCreate() 함수가 아닌 onCreateView() 함수를 프래그먼트에 그릴 뷰를 생성할 때 호출해야한다.즉, 뷰 바인딩 객체를 생성할 때 oncreateview() 함수 내에서 수행해야한다.해당 코드는 다음과 같다.레이아웃 매니
액티비티와 프래그먼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가 달라서 구현할 때 소스코드를 많이 찾아봤다.Fragment 클래스는 context를 상속받지 않기 때문에 context 관련 메서드들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다음 메서드들 사용 불가context에 정의된 메서드fin
xml 파일 EditText 속성에서 다음 코드 추가TextView에서 보여줄 글자를 String.xml에서 저장다음과 같이 u 태그 내에 원하는 글자 작성
코루틴의 활동범위내가 원하는 범위의 스코프를 설정하여, 그에 대한 lifeCycle을 가진 코루틴 생성 가능KotlinMainScope: Main UI 스레드에서 사용GlobalScope: 앱 전체의 생명주기Android JetpackLifecycleScope: Act
Room이란?Android JetPack 라이브러리의 AAC(Android Architecture Component) 중 하나SQLite를 활용해서 기기 자체의 내부 저장소(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방식기기가 네트워크에 엑세스할 수 없는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콘텐츠
UI 개발을 간소화하기 위해 설계선언적인 접근방식으로, 데이터를 UI 계층 구조로 변환하는 일련의 함수를 호출해 UI를 설명데이터가 변경되면 함수를 자동으로 다시 실행해 UI 계층 구조를 업데이트@Composable:구성 가능한 함수(컴포저블) 표시새 프로젝트 만들기에
선언형 UI 프레임워크인 Compose는 stateless함이 가장 큰 장점💡 Compose Stateless의 장점UI 재사용성UI 테스트 가능성 있음💡 Compose를 Stateful할 때는?재사용성은 줄어듦 테스트 가능성 사라짐위와 같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LazyColumn 목록 작성 시 화면에 보이는 항목만 렌더링하므로 항목이 많은 목록을 렌더링할 때 성능이 향상 LazyColumn과 LazyRow는 Android 뷰의 RecyclerView와 동일 > 🚨 LazyColumn은 RecyclerView와 같은 하위 요
ui/theme/Theme.kt 경로로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은 앱 테마 설정 관련 코드가 있다.코드를 보면 JetpackCompose_StudyTheme가 구현에서 MaterialTheme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MainActivity의 onCreate() 함수
지정한 action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클릭가능한 아이콘모듈 수준 gradle.build에 다음 코드 추가MainActivity에 다음 추가CardContent함수 받는 것으로 수정다음 카드 관련 코드 추가
Activity1 내에 보여질 Fragment1, Fragment2 등으로 교체할 때ex) Navigation bar 사용한 Fragment 탭 전환 구현할 때코드예시같은 Activity1 내의 Fragment1 ➡️ Fragment4 교체일 때코드예시
안드로이드에서 "KTS"는 Kotlin Script의 약자로, Kotlin DSL(Domain-Specific Language)을 사용하여 Gradle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이다.이는 기존의 Groovy 스크립트와 다르며 두 가지는 문법 구성과 빌드 구성에서 차
안드로이드에서 Material 3 테마가 적용되어 있으면 하단 내비게이션 바에서 선택되어 있는 요소 배경에 아래 사진처럼 보라색으로 배경이 뜬다.내가 원하는 건 인디케이터가 배경 색(하얀색)과 같아지고자 한다.themes.xmlactivity_main.xml다음 코드
Manifest 파일에 네트워크 관련 권한 및 S3 전송 서비스 등록 > - `` :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여 전송 작업을 조정 > - `` : 인터넷 통신을 위한 필수 권한 > - `` `` : AWS S3 전송을 관리하는 서비스 AndroidManifest.
ui/theme/Theme.kt 파일 내부에 기본적으로 작성되어 있는 다음 코드가 애뮬레이터 내의 상단 상태표시줄과 하단 조작바 부분 테마 설정 코드이다.참고로 현재 나는 Material Design 3를 사용중이다.기존 코드위 기존코드 그대로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
PDF를 Compose UI를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앱 내에 띄워야하는데, 여러 라이브러리들 사용에 실패하다가 유일하게 성공한 방법이다.다음은 PdfRenderer를 사용하여 PDF의 특정 페이지를 Bitmap으로 변환하고 이를 Compose에서 이미지로 표시하는 코드이
내가 구현하고 싶은 내비게이션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아이콘 상태 구분: 선택된 탭과 선택되지 않은 탭의 아이콘이 다르게 표시상태 복원 및 인스턴스 관리: 이전 화면의 상태를 복원하며,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도록 관리공간 활용 최적화: 선택된 탭은 가로로 길게 공
사용자가 날짜 선택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DatePicker와 OutlinedTextField를 조합하여 날짜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DatePickerField 컴포저블을 구현하기로 했다.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OutlinedTextField와 DatePi
안드로이드에서 Side sheet를 Navigation drawer라고 한다.Material Design에 포함된 Navigation drawer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Standard화면 옆에 drawer로 채우는 방법⇒ 사용자가 원래 사용하던 화면 계속 사용 가능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