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클론 하다가 배웠다. lazy는 게으르다는 뜻인데 프로그래밍에서는 조금 다른 의미로 쓰인다. 그냥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누리다 의 개념으로 보면 좋을 것 같다. lazy라는 말은 예전에 바닐라 js의 제너레이터로 지연평가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울때 들은 적이 있다. 예를 들어 1부터 무한대로 증가하는 infinity함수가 있다고 하자. 이때 앞에서 5의 배수 2개만 뽑아낸다고 하면 결과는 [5,10] 일것이다. 그럼 무한대로 증가하는 함수는 1부터 10까지만 숫자를 만들어내고 그다음엔 멈출것이다. 이렇듯 딱 필요한만큼 만들어서 필요할때 보내주는 것이 지연평가라고 할 수 있을것 같다. 참고로 제너레이터를 이용한 5의배수를 뽑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이때 GeneratoNum에 어떠한 수가 들어가도 걸리는 시간은 같을 것이다. fiveArr에서 iter를 통해 값을 요청할때만 GenerateNum가 돌아가기 때문이다. 미리 100개의 원소를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