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P(Orthogonal Matching Pursuit)과 K-SVD (1)

Seow·2023년 9월 2일
0

Sparsity

목록 보기
2/2

오늘은 sparse representation에서 근본 방법론이라 볼 수 있는 OMP(Orthogonal Matching Pursuit)와 K-SVD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이제 설명은 다음과 같은 최적화 식을 푼다고 가정하고 진행한다.

minyXβ22  s.t β0T0\min ||y - X\beta||^2_2 ~~s.t ~ |\beta|_0 \leq T_0

β\betaT0T_0 sparse vector 이다.

  1. OMP : y,Dy, D가 주어졌을때 sparse vector β\beta를 찾는다.
  2. K-SVD : yy만 주어진 상황에서 D,βD,\beta를 구한다. 하지만 이 방법론이 집중하는 부분은 DD를 구하는 것이다.

위의 두 사항을 잘 인지해놓고 있자.

OMP(Orthogonal Matching Pursuit)

sparsity를 사용하는 연구에서 OMP는 정말 많이 사용된다. K-SVD 내부에서도 사용되니 말 다했다

일단 minyXβ22  s.t β0T0\min ||y - X\beta||^2_2 ~~s.t ~ |\beta|_0 \leq T_0 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y,Dy, D가 주어졌고 여기에서 β\beta를 구해본다고 생각해보자.
여기에서 yRn,xRp,XRn×py\in \mathbb{R}^n, x\in \mathbb{R}^p, X\in \mathbb{R}^{n\times p}이다. (n<pn<p)

XβX\beta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데, XβX\betaβ\beta의 각 element에 대한 X의 columns의 선형결합이다. 그러니까, 이 sparse vector β\beta의 각 element는 해당 element에 대응되는 D의 column을 얼마나 반영해서 선형합 할거냐는 뜻이다.
즉, β\beta의 값은 yyXX의 column이 얼마나 유사한지에 대해 결정된다.

OMP는 이러한 사실을 사용한다. (greedy, iteratively)

위 사진은 OMP의 알고리즘이다.
한줄씩 해석 해보겠다.

Step 1. : r0r_0은 현재 유사도를 비교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가장 처음에는 r0=yr_0=y로 초기화 시킨다. (전체 정보 이용.) 그리고 c0c_0은 이전에 update 했던 β\beta에 대응되는 X columns를 저장한 것이다. (모든 columns에 대해 한번만 update 한다.)

Step 2-4까지는 iteration이다.
Step 2.: ri1r_{i-1}과 가장 비슷한 XX의 column을 찾아보자. -> 가장 반영을 잘하는 column을 찾기 위해 내적의 값이 가장 큰 column을 찾는다.

Step 3.: 이제 지금까지 찾았던 columns와 이번 step에 찾았던 column을 모두 포함한 columns를 기준으로 Projection matrix를 구해본다. 그리고 rir_i(IPi)y(I-P_i)y로 update한다. 여기에서 (IPi)(I-P_i)PP의 projection 대상이 되는 공간의 orthogonal complement 공간으로 projection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지금까지 업데이트 했던 차원 외의 다른 차원에 대한 yy의 정보만을 다루겠다는거다. (이전에 고려되었던 y의 정보를 빼는 것.)

대충 이런 느낌이다.

Step 4.: Stopping condition을 확인하고 iteration을 계속 이어나가거나 중지한다. Stopping condition은 논문에서 다루고 있지만 보통 사전에 주어진 T0T_0 sparsity에 대해 iteration이 고정된다.

위의 step들을 보면 두가지 의문이 들 수 있다.
분명히 β\beta를 update하는거라고 했는데 β\beta는 딱히 조정을 안한다. 논문에서 잘 나타내주지 않는데, 내 생각에는 전체 iterations를 모두 거치고 적절한 columns의 indices가 구해졌을때 진행되지 않나 싶다. -> Projection matrix에서 가장 앞의 X(c)X(c)를 뺀 (X(c)TX(c))1X(c)Ty(X(c)^TX(c))^{-1}X(c)^Ty가 의미하는게 이 column space에 대응되는 yy'를 내놓는 β\beta를 구하는 것이니까. 여기에서 cc에 포함되지 않는 columns에 대응되는 β\beta의 elements는 0으로 두고..

두번째 의문은 step 2.에서 단순히 내적의 max를 취하는 경우 이전에 선택된 columns과 중복된 column이 선택될 수 있지 않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논문에서 말했듯이 Greedy algorithm이라서 ci1c_{i-1}에 포함되지 않는 columns만을 고려한다는 제한이 들어가야할 것 같다. -> 그냥 생략해서 쓴듯?

근데 위의 알고리즘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Projection matrix를 계산하는 것 자체가 비교적 계산 복잡도를 증가시킨다. 챗지피티씨한테 질문해본 결과 좀 더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되는 것 같다.

import numpy as np

def omp(A, y, k):
   n, d = A.shape
   x = np.zeros(d)  # 근사할 신호의 초기화
   
   for _ in range(k):
       residual = y - np.dot(A, x)  # 잔여 계산
       max_index = np.argmax(np.abs(np.dot(A.T, residual)))  # 가장 큰 기저 함수 선택
       selected_atom = A[:, max_index]
       
       x[max_index] += np.dot(selected_atom, residual)  # 선택한 기저 함수의 계수 업데이트
   
   return x

# 예제 데이터 생성
n = 100  # 신호의 길이
d = 200  # 기저 함수의 수
k = 5   # 선택할 기저 함수의 수

# 임의의 기저와 신호 생성
A = np.random.randn(n, d)
x_true = np.zeros(d)
x_true[:k] = np.random.randn(k)
y = np.dot(A, x_true)

# OMP 알고리즘 적용
x_approx = omp(A, y, k)
print("True x:", x_true)
print("Approximated x:", x_approx)

K-SVD는 다음 포스트에 기술하겠당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