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와 배포 서비스를 통일하는것이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벡엔드에서 처리한 배포 서비스인 gcp를 이용해보려고 시도했다.블로그들을 돌아가며 참고하였다.초반문제:스토리지에 업로드할때 부터 뭔가 삐꺽거리는 느낌이었다. ip주소를 만들었고,. 그렇다면 이 ip주소로 접속이
팀플2주차가 훅 지나갔다. 돌아와.... 뭔가 내가 한것이 많이 없는것같다. 이번주에 막혔던일은 기존에 페이지를 넘어가 모달로 열렸던 샵 정보보러가기 를 바로 모달로 열리게 설정을
upstream에서 pull을 받고 작업을하려 develop에서 브랜치를 따고, 뭔가 빨간줄이 생기길래 yarn install을 다시해보려고 node_modules를 지우고 다시 설치해보려했는데 다음과같은 에러가 뜨면서 날 당황시켰다.저걸 그대로 복사를 해 구글링하니
코드캠프 선택 이유, 코드캠프 커리큘럼 만족도, 코드캠프 수강환경, 코드캠프 멘토링 등 코드캠프에 대한 좋은 후기내가 하고싶었던것이라고 생각하고 대학을 입학했으나 , 너무 회의감이 들었다. 졸업을 앞두고는 생각이 많아져 다른 시험을 준비하다가 무언가 진짜 내것을 만들고
pmi미팅: 각 단계별로 규칙에 맞춰 미팅.P-좋은점에대해서만 집중해 의견M - 단점에만 집중I - 흥미. 흥미롭게 생각하는부분 --> 취업에 \~~모든 아이디어에대해 pmi. 무지성으로 달려들지 않기위함 ==> 반드시 모든것의 이유를 \*\* 가장좋은답변 >
지난시간:CDN에 인증서 설치 -> https접속 가능하게 처리오늘: 1. 스토리지 접속확인 2\. 로드벨런서 접속확인(EC2에 yarn start하고확인) 3\. 정적, 동적 분기처리 브라우저접속 -> 내가 입력한 주소를 DNS가 CDN주소로 바꿔치기해줌.
내 도매인 주소를 입력하면 DNS라는 주소를 바꿔치기 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해 스토리지 주소로 바꿔치기 하여 접속이 가능하게함.단점: 실 서비스가있는 즉, 동적 페이지에서는 어려움,.실행되는 방법 =>yarn build로 배포에 맞는 최적화를 실시한 후, 생성된 폴더
배포 2CS=> 컴퓨터 사이언스컴퓨터 내부원리를 알아야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것이 가능. (CPU문제인지, 등을 파악이 가능하다.)http , https(보안관련)네트워크와 트러블 슈팅지난시간: http로 정적사이트를 스토리지로 배포함.http => 주의요함.http
배포: 컴퓨터 하나를 구매하고, 구입한 컴퓨터를 24시간 yarn dev해놓는것.배포란?내가만든 홈페이지 공개하기주소창에 자물쇠 , 정적 / 동적페이지 분리일단 배포란?>내 컴퓨터 터미널에서 yarn dev ==> 브라우저에서 localhost입력해 접속 -> html
SSR은 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서 모든것을 처리하지 않고, 사이트에 접속했을 시 서버에서 해당 페이지에 필요한 데이터를 가지고와서 HTML을 만들고 이것을 사용자는 바로 볼 수 있게되어 페이지 로딩이 빨라지게된다.단점:Blinking Issue라는 것이 존재.사용자가
일단 Promise라는 것은 API요청 등 기다렸다받는 종류의 것들이 리턴하는것을 얘기한다. (리턴을 Promise로 하는것.) 우선은 Promise.all이라는것을 적용하기 전과 뭐가다른지 그려보았다. 일단 Promise로 만들어 줘야하기에 일정시간 요청을 기다렸
HOC ==> 실행할컴포넌트보다 먼저 실행되는 컴포넌트.이 컴포넌트에 useEffect라는 로직을 집어넣어 실행을 원하는 컴포넌트의 실행전 HOC컴포넌트의 useEffect가 먼저 실행되어 권한체크.HOF ===>함수 안에서 실행되는 함수event.target.id 부
옵티미스틱-UI.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 낙관적인 Ui를 의미한다.실패할 가능성이 거의 없고 (0에 가깝고) , 실패하더라도 문제되지 않는 로직에 적용되는 개념이다.성공했겠지~ 를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는것이다.앞서 말했듯, 실패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아야하기에 결제
프리패치, 프리로드, 레이지로드프리패칭은 다음 페이지의 것을 미리 받아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브라우저에서 페이지가 그려지는 과정에서먼저 html코드를 받아오고 위에서부터 받아오는것을 알 수 잇는데, 이때 다운로드는 위에서부터 6개씩 받는 다. 미리 받는다는점에서는
이것은 옵져버블과 관련이 있다.옵져버블: 반응형 프로그래밍이라고 부름.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반응형 프로그래밍함수형 프로그래밍 : .map((el)=>).filter().find().replace().. 이런식으로 기능들을 체이닝하는것. 위의것은 만들어
디바운싱: 일정시간이 지났을때서야 로직이 실행됨.트로틀링(쓰로틀링): 특정로직이 실행되는 속도를 제한하고어떤 로직(함수)를 실행했다면 그 함수가 실행되는것을 막는 역할을 함.
즉, 기존에 map((el)=>{}) 이런식으로 적어준 이 형태가 바로 콜백함수인것이다./어차피 인지 부분이기에, 화살표 함수이거나 function으로쓴 함수이거나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다.정리하자면, 콜백함수란, 다른 함수의 인자로 들어가는 함수라고 할 수 있
수업 마지막주가 시작된날.테스트 코드 작성배포기능없이 테스트를 하는 방식(ttd)테스트:마우스로 클릭하는것등을 대신해주는것.(API요청등)이 대신해주는 코드를 만드는것이 테스트코드모든 기능을 테스트 후 배포를 한다. => 잘 사용하는 중에 이후 기능을 추가를 하기로 하
wrapAsync부분 제네릭으로 만들기 event타입이 다 다를 수 있기에 제네릭타입이나 any를 사용한다. ==> 기존방법 낙관적 UI 좋아요 카운트 등 중요하지 않는곳에 사용.미리 카운트 해놓고 보여주고, 후에 DB에 보내 실제 결과를 그 후에 보여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