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14 부트캠프 15일차

Hi·2020년 8월 14일
1

TIL

목록 보기
14/20

고차 함수란?

고차 함수란 다른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다른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를 말한다. 2개의 함수가 있는데 첫번째 함수가 두번째 함수의 인자(argument)로 들어간다면 그 인자안에 있는 함수는 콜백함수라고 부른다.

office hour 간단 정리

오늘 오피스 아워에서 가장 인상깊은 말들을 몇가지 정리해보고 싶다.

"하루종일 똑같은 코드를 붙잡고 고민하는것 보다 똑같은 코드 더라도 매일, 자주 보는 것이 훨씬 도움이 많이 된다"

"개념에 대한 간단한 정의 정도는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좋다."
모른다고 그냥 모르겠다 모르겠다만 하지말고 정의라도 제대로 알고, 나만의 언어로 설명하자 라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식의 간단한 특징 및 차이점

  1. function expression
    함수 표현식을 쓰면 유지보수가 좋은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할수 있다.
  2. function declarations
    선언식은 호이스팅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what is higher order function?

함수를 변수에 저장한 것이 1급 객체이다

what is callback function?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되는 함수

function square(number){
return number+number
}
function result(square){
return square+2
}

이 예시에서 콜백함수는 두번째 함수안에 인자로 들어간 square함수가 된다.

배열메소드 중에서 가장 헷갈렸었던 리듀스 함수를 질문했다!

how to use reduce()?

reduce함수 안에는 currentvalue(배열안의 각요소)와 accumulator(누적값)이 존재한다.
(accumulator 누적값 / currentvalue 요소 하나하나의 값)

let arr = [1,2,3,4]
arr.reduce(function (acc, cur){
 return acc + cur // 10
}, 0)

배열메소드의 핵심은 배열 각요소 하나하나에 접근해서 결과값을 리턴한다는 점이다.
이것을 감안하고 문제를 풀어나가니까 잘풀려서 재미있고 뿌듯한 하루였다.

이번주말에는 코플릿 고차함수를 다 풀고 배열메소드에 대해서 기술 블로그를 하나 정리해볼 예정이다! 이번주도 고생 정말 많았다ㅠㅠ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