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s | n | result |
---|---|---|
"AB" | 1 | "BC" |
"z" | 1 | "a" |
"a B z" | 4 | "e F d" |
Lv.0 문제를 풀 때 검색해봤던 아스키 코드에 관한 코드를 사용할 때가 왔다!!
문제를 풀기 전에 아스키 코드에 관한 함수를 살펴보자.
String.fromCharCode(아스키 번호)
➡️ 아스키 번호
에 해당하는 문자를 반환
str.charCodeAt()
➡️ 문자 str
의 아스키 번호를 반환
str.codePointAt()
➡️ 문자 str
의 아스키 번호를 반환
❗ str.charCodeAt()
와 str.codePointAt()
기능이 같은데, 어떤걸 쓰냐!
이 문제에서는 둘 다 상관 없지만, str.codePointAt()
가 기능적으로 더 좋은 함수이므로 이 함수를 쓰는 습관을 들이자. ✏️ 왜 그런지 보러가기
function get_next_alphabet(char, n){ // char보다 n번째 뒤에 있는 알파벳 구하는 함수
if(char === " "){ // 공백은 밀어도 공백!
return " ";
}
let charnum = char.codePointAt(); // 1️⃣ 알파벳을 아스키 코드로 변환하기
for(let i = 0; i < n; i++){
if(charnum === 'z'.codePointAt()){
charnum = 'a'.codePointAt();
continue;
}
else if(charnum === 'Z'.codePointAt()){
charnum = 'A'.codePointAt();
continue;
}
charnum++; // 2️⃣ 아스키 코드에 밀고 싶은 횟수를 더하기
}
return String.fromCharCode(charnum); // 2️⃣에서 구한 숫자를 다시 알파벳으로 변환하기
}
function solution(s, n) {
let arr = [];
for(let char of s){
arr.push(get_next_alphabet(char,n));
}
return arr.join('');
}
n번 밀었을 때의 알파벳을 구하는 get_next_alphabet()
함수를 따로 선언해서 해결했다.
아스키 코드를 활용하는 문제가 많지는 않지만, 한번씩 필요한 경우가 있으니, 관련 함수들을 기억해두자!
문제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