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로컬 브랜치가 master로 되어있는데. 흑인비하 관련된 단어라고 하여
아무생각없이 자료를 올려놓겠다고 github에 레포지토리생성하고 파일열고 바로 Push 해서 원격저장소주소 입력하고 연결하면 꼬이게된다.
push 하기전에 브랜치를 main or 다른 브렌치로 변경하고 커밋찍고 push 를 하는걸 추천한다. 이것때문에 몇시간을 개고생했는지 모르겠다.
필자는 작업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하고있는데. github 레포지토리 생성후에, 파일업로드(마우스로 끌어당겨서 최초 파일업로드) 시에
다시 클론을 받을경우, android 부분이 있어야할것이 사라진다. (안드로이드 단이 사라지고 project 단으로 바뀌어버림. 인터넷에 있는 모든짓을 해도 해결이 안됬음)
꼭 개인프로젝트를 깃에 올려야할일이 있다면
레포지토리 생성
push 하기전에 master가 아닌 branch 에서 push 하기.
정도 유의하면 좋을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