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로 소개팅앱 스타일 카드 스와이프 마스터하기
해당 영상을 한 번 슥~ 본 후에 내 스타일대로 다시 만들어보는 토이프로젝트
완성본 페이지
코드 전문
버튼을 누르거나 좌우로 넘겨도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귀여운 고양이 사진이 무한으로 나와요
HTML , CSS
구조 잡기<!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Cat-tinder</title>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div class="card-wrapper">
<div class="card"></div>
<div class="card"></div>
<div class="card"></div>
<div class="card"></div>
<div class="card">
<div class="info-wrapper">
<p class="person-name">Jerry</p>
<p class="person-greet">Hello</p>
</div>
</div>
</div>
</div>
<div class="button-wrapper">
<button class="dislike">🙀</button>
<button class="like">😻</button>
</div>
</body>
<script src="main.js"></script>
</html>
대충 이런식의 구조를 잡아놓고 자바스크립트에 들어갔다.
고양이의 사진들은 들어갈 때 마다 랜덤한 고양이의 사진들을 제공해주는 API
를 사용했다.
API
출처 : https://api.thecatapi.com/v1/images/search[{"id":"aci", "url":"https://cdn2.thecatapi.com/images/aci.jpg", "width":560,"height":413 }]
이런식으로 생긴
JSON
파일을 준다.
고양이의 사진들을 card
의 background : url()
을 이용해 채워주고
background-size : cover , background-position : center
로 중앙 정렬 및 사이즈를 맞춰주었다.
card
들은 모두 absoulte
형태로 쌓여있기 때문에 스와이프를 통해 가장 마지막 카드가 스와이프되어 제거되면
그 다음 밑에 있는 카드가 나타나는 형태이다.
setup() {
this.current = this.wrapper.lastElementChild;
this.initialCoord = { initX: 0, initY: 0 };
this.moveCoord = { moveX: 0, moveY: 0 };
this.offset = { X: 0, Y: 0 };
if (!this.cardWidth) this.cardWidth = this.current.clientWidth;
const cardSetup = (event) => {
const { current } = this;
this.initialCoord = { initX: event.clientX, initY: event.clientY };
const cardMove = (event) => {
this.moveCoord = { moveX: event.clientX, moveY: event.clientY };
const { cardWidth } = this;
const { moveX, moveY } = this.moveCoord;
const { initX, initY } = this.initialCoord;
this.offset = { offsetX: moveX - initX, offsetY: moveY - initY };
const { offsetX, offsetY } = this.offset;
const likeShadow = offsetX > 0 ? '#a81d3e' : '#aaa';
const alpha = 5;
const likeRot = (offsetX / cardWidth) * alpha;
current.style.transform = `translate3D(${offsetX}px ,${offsetY}px , 10px)
rotate(${likeRot}deg)`;
current.style.boxShadow = `0px 0px 50px 50px ${likeShadow};`;
};
const cardLeave = () => {
const { cardWidth } = this;
const { offsetX, offsetY } = this.offset;
const delay = 1000;
if (Math.abs(offsetX) < cardWidth) {
current.style.transition = `all ${delay}ms`;
setTimeout(() => {
current.style.transition = 'all 0s';
}, delay * 0.9);
current.style.transform = 'translate3D(0px,0px,0px)';
} else {
current.style.transition = `all ${delay}ms`;
setTimeout(() => {
current.style.transition = 'all 0s';
this.wrapper.removeChild(current);
this.setup();
}, delay * 0.5);
current.style.transform = `translate3D(${offsetX * 5}px,${
offsetY * 5
}px,0px)`;
}
current.removeEventListener('pointerup', cardLeave);
current.removeEventListener('pointermove', cardMove);
current.removeEventListener('pointerleave', cardLeave);
};
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move', cardMove);
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leave', cardLeave);
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up', cardLeave);
};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down', cardSetup);
}
예시 카드 한장만 가지고 이벤트를 등록해주었다.
가장 마지막 카드를 선택한 순간 ponitermove , pointerup , pointerleave
에 대해
카드가 이동하고 포인터 클릭이 해제 되거나 포인터가 카드를 벗어나는 순간
제자리로 돌아오거나 아예 벗어나고 삭제되도록 하였다.
삭제된 후에는 setup()
메소드를 다시 호출하도록 하여 다음 카드 등록 , 기초 좌표 등록 등의 행위를 해주었다.
코드가 너무 지저분하니 리팩토링을 해주자
문제점을 찾아보자
현재 cardMove , cardLeave
콜백함수는 cardSetup
함수가 호출 될 때마다 새로 등록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cardSetup
함수 밖에서 선언해두고 불러오기만 하도록 하자
대부분의 작업들이 캡슐화되어있는 것이 아니기에 코드들이 어떤 행위를 하는 것인지 이해하기 쉽지 않다. 행위들을 캡슐화 해줘 단일 책임 원칙을 따르도록 하자
변수들을 지속적으로 const
와 함께 선언하여 불러오니 가독성이 떨어진다. 많은 값들을 담을 수 있는 자료구조를 만들어주자
moveCoord
자료구조는 offset
을 설정하기 위해서만 필요한 자료구조였기 때문에 삭제해주고
offset
자료구조의 형태를 변경해주어서 불필요한 변수 선언문을 삭제해주었다.
/* 리팩토링 전 선언 단계 */
/* initialCoord 객체에 initX , initY 라는 비효율적 프로퍼티명이 존재함 */
this.initialCoord = { initX: event.clientX, initY: event.clientY };
const cardMove = (event) => {
/* moveCoord 는 offset 자료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했던 임시 버퍼 */
this.moveCoord = { moveX: event.clientX, moveY: event.clientY };
const { cardWidth } = this;
const { moveX, moveY } = this.moveCoord;
const { initX, initY } = this.initialCoord;
/* 값 재할당과 선언이 불필요하게 두 번씩 일어났음 */
this.offset = { offsetX: moveX - initX, offsetY: moveY - initY };
/*offset 객체에 offsetX , offsetY 라는 비효율적 프로퍼티 명이 존재함 */
const { offsetX, offsetY } = this.offset;
...
}
/* 리팩토링 이후 선언 단계 */
/* initialCoord 프로퍼티명 변경 */
this.initialCoord = { X: event.clientX, Y: event.clientY };
const cardMove = (event) => {
const { initialCoord, offset, cardWidth } = this;
this.offset = {
/* offset.X , offset.Y 로 참조 할 수 있도록 함
moveCoord 자료구조 없이 바로 값을 변경 할 수 있도록 함 */
X: event.clientX - initialCoord.X,
Y: event.clientY - initialCoord.Y,
};
...
지저분하게 나열되어있던 코드블록들을 행위 별로 캡슐화해주었다.
class Cards {
...
/*constructor 와 여러 메소드들 .. */
...
setupCard(event) {
this.initialCoord = { X: event.clientX, Y: event.clientY };
const { moveCard, terminateEvent } = this;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move', moveCard);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up', terminateEvent);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leave', terminateEvent);
}
setup() {
/* 렌더링 즉시 마지막 카드에 이벤트 핸들러들을 등록하는 메소드*/
this.current = this.wrapper.lastElementChild;
this.initialCoord = { X: 0, Y: 0 };
this.offset = { X: 0, Y: 0 };
const { setupCard } = this;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down', setupCard);
}
}
모두 8개의 메소드로 구분을 한 후 setup
메소드 단계에서는 현재 카드에 setupCard
라는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해주었다.
setupCard
메소드가 호출되면 메소드로 등록된 함수들이 딱딱 이벤트 핸들러로 등록될줄 알았는데 문제가 발생했다.
this
바인딩 문제 발견setupCard
메소드가 호출 될 때 this.current
를 찾지 못한다는 것이다.
current
뿐이 아니라 클래스 내부에서 선언된 프로퍼티와 메소드들을 모두 찾지 못한다.
그래서 setupCard
가 호출 될 때 바인딩 된 this
가 무엇을 가리키나 로그를 해보았다.
아 진짜 왜이래~!~!~!~!
왜 this
가 class Cards
를 가리키는게 아니라 div
태그를 가리킬까 ?
클래스 내부에서 선언된 메소드들의 this
는 항상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가리키는거 아닌가 ? 하고 30분동안 삽질했다.
그래서 머리 식히러 산책 하고 오면서 깨달았다.
this
는 항상 자신을 호출한 객체를 가리킨다는 점을 ..
class Cards
내부에 있는 메소드를 <div class = 'card'></div>
의 이벤트 핸들러로 등록한 순간부터
메소드를 호출하는 주체는 <div class = 'card'></div>
이기 때문에 호출되는 setupCard
메소드의 this
는 class Cards
가 아닌 div
태그를 가리키게 된다.
this
바인딩 문제 해결하기그!래!서! this
자체가 class Cards
자체를 가리키도록 바인딩 해줘야 한다.
함수를 건내줄 때 .bind(this)
를 통해 바인딩 해줘도 되겠지만 더 명시적으로 하기 위해
메소드들을 모두 화살표 함수로 변경해주었다.
화살표 함수는 this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선언 즉시, 자신이 선언된 상위 렉시컬 환경의 this
와 바인딩 된다.
클래스 내부에서는 화살표 함수가 아니라 메소드들을 사용해야 하는게 아닌가 .. 하는 생각이 있었지만,
class Cards
는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자가 아니라 함수들의 묶음이기 때문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 생각했다.
calucateOffset , makeEffect , changeCard , moveCard
class Cards{
...
calculateOffset = (event) => {
const { initialCoord } = this;
this.offset = {
X: event.clientX - initialCoord.X,
Y: event.clientY - initialCoord.Y,
};
return this.offset;
};
makeEffect = (offsetX, alpha = 5) => {
const { cardWidth } = this;
const shadow = offsetX > 0 ? '#a81d3e' : '#aaa';
const rot = (offsetX / cardWidth) * alpha;
return { shadow, rot };
};
changeCard = (offset, effects) => {
const { current } = this;
current.style.transform = `
translate3D(${offset.X}px ,${offset.Y}px , 10px)
rotate(${effects.rot}deg)`;
current.style.boxShadow = `0px 0px 50px 50px ${effects.shadow};`;
};
moveCard = (event) => {
const offset = this.calculateOffset(event);
const effects = this.makeEffect(offset.X);
this.changeCard(offset, effects);
};
...
}
카드의 이동 거리를 구하는 calucateOffset
메소드와 그림자와 각도를 계산하는 makeEffect
메소드를 화살표 함수로 선언해준 후 changeCard
로 캡슐화 해줬다.
이후 이벤트 핸들러로 등록될 moveCard
에선 세 가지 메소드를 호출해주도록 하였다.
chooseCard
, initializeCard
, clearAllEvent
, terminateEvent
class Cards{
...
chooseCard = (delay = 1000) => {
const { current, offset } = this;
current.style.transition = `all ${delay}ms`;
current.style.transform = `translate3D(${offset.X * 5}px , ${
offset.Y * 5
}px , 0px)`;
setTimeout(() => {
this.wrapper.removeChild(current);
this.setup();
}, delay * 0.7);
};
initializeCard = (delay = 1000) => {
const { current } = this;
current.style.transition = `all ${delay}ms`;
current.style.transform = 'translate3D(0px,0px,0px)';
setTimeout(() => {
current.style.transition = '';
this.setup();
}, delay);
};
clearAllEvent = () => {
const { setupCard, moveCard, terminateEvent } = this;
this.current.removeEventListener('pointerdown', setupCard);
this.current.removeEventListener('pointermove', moveCard);
this.current.removeEventListener('pointerup', terminateEvent);
this.current.removeEventListener('pointerleave', terminateEvent);
};
terminateEvent = () => {
const { offset, cardWidth, clearAllEvent } = this;
if (Math.abs(offset.X) > cardWidth) this.chooseCard();
else this.initializeCard();
clearAllEvent();
};
...
}
카드를 선택후 포인터를 똇을 때 기존 임계점을 넘지 않으면 기존 선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initializeCard
메소드와 넘었을 경우엔 카드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chooseCard
메소드를 선언해주었다.
이후 이벤트들을 모두 초기화 해주는 메소드도 등록해주었다.
this.setup()
메소드를 비동기적으로 pointup
단계에서 모두 호출해주었다.
setAllEvent , setupCard
, setup
class Cards {
constructor() {
this.wrapper = document.querySelector('.card-wrapper');
this.cardWidth = document.querySelector('.card').clientWidth;
this.setup(); /* 처음 호출 될 때 setup 메소드가 호출된다 */
}
...
setAllEvent = () => {
const { moveCard, terminateEvent } = this;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move', moveCard);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up', terminateEvent);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leave', terminateEvent);
};
setupCard = (event) => {
this.initialCoord = { X: event.clientX, Y: event.clientY };
this.setAllEvent();
};
setup() {
this.current = this.wrapper.lastElementChild;
this.initialCoord = { X: 0, Y: 0 };
this.offset = { X: 0, Y: 0 };
const { setupCard } = this;
this.current.addEventListener('pointerdown', setupCard);
}
...
}
카드를 선택하는 pointdown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호출되는 메소드들이다.
setupCard
이벤트 핸들러가 pointdown
시 호출되면서 해당 카드에 모든 이벤트 핸들러들이 등록된다.
API
요청으로 무한 스와이프 만들기이벤트 핸들러로 작동하는 거는 만들었으니
이제 카드들이 무한하게 작성되도록 API
요청을 보내야 한다.
deque
자료구조 만들기[1번 대기 카드 , 2번 대기 카드 , 3번 대기 카드 ] == 채워주기 ==>
[1번 카드 , 2번카드 , 3번카드 ] == 스와이프 ==> 꺼내기
카드를 하나씩 뽑을 때 마다 새로운 카드들을 카드의 맨 뒤에 담아주도록 하자
그렇기 위해 API
요청을 보내 먼저 대기 시킨 카드들을 먼저 꺼내 카드 리스트에 넣어주기 위해 dequeue
자료구조가 필요하다.
그런데 자바스크립트 내장 모듈에는 없으니 구현해주었다.
export default class deque {
constructor() {
this.head = null;
this.tail = null;
this.length = 0;
}
append(node) {
if (!this.length) {
/* 아무런 노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들어오는 노드가 head 며 tail */
this.head = node;
this.tail = node;
this.length += 1;
return;
}
if (this.length === 1) {
/* 노드가 하나만 존재하면 들어오는 노드가 tail 이 됨 */
this.head.next = node;
this.tail = node;
node.prev = this.head;
this.length += 1;
return;
}
/* 노드가 2개 이상일 때에는 tail의 next 로 연결시켜주면 됨 */
this.tail.next = node;
node.prev = this.tail;
this.tail = node;
this.length += 1;
}
appendLeft(node) {
if (!this.length) {
this.append(node);
return;
}
this.head.prev = node;
node.next = this.head;
this.head = node;
this.length += 1;
}
pop() {
if (!this.length) return new Error('deque is Empty !');
const returnNode = this.tail;
if (this.length >= 2) {
this.tail.prev.next = null;
this.tail = this.tail.prev;
this.length -= 1;
return returnNode;
}
this.length -= 1;
return returnNode;
}
popleft() {
if (!this.length) return new Error('deque is Empty');
const returnNode = this.head;
if (this.length >= 2) {
this.head.next.prev = null;
this.head = this.head.next;
this.length -= 1;
return returnNode;
}
this.length -= 1;
return returnNode;
}
}
사실 어차피
API
요청을 5개씩 보낼 것이라 그냥unshift
를 써도 되지만 기왕 하는 김에 구현해봤다.
연결리스트를 이용해 dequeue
를 구현해줬으니
연결리스트에서 연결 될 node
들을 생성해주자
Response
이용해 컴포넌트 만들기[{"id":"die",
"url":"https://cdn2.thecatapi.com/images/die.jpg",
"width":600,
"height":600}]
API
요청을 받으면 받아지는 정보들은 이렇게 생겼으니 id , url
를 정보로 담는 노드들을 만들어주자
export default class InfoNode {
constructor(res) {
this.id = res.id;
this.url = res.url;
this.next = null;
this.prev = null;
this.createNode();
}
createNode() {
const { id, url } = this;
const customStyle = `background : url("${url}");
background-size : cover; background-position : center;`;
const $pseudo = document.createElement('div');
$pseudo.innerHTML = `
<div class="card" style = '${customStyle}' >
<div class = 'info-wrapper'>
<p class="person-name">${id}</p>
<p class="person-greet">Hello :)</p>
</div>
</div>`;
this.node = $pseudo.firstElementChild;
}
}
노드를 만들 때 node
값에 컴포넌트들을 생성해주자
이렇게 되면 InfoNode.node
를 카드를 담고 있는 card-wrapper
에 첫번째 자식노드로 추가만 해주면 무한 스와이프를 할 준비가 끝난다.
constructor
내부에서 createNode
메소드를 실행시켜주으로서 생성과 함께 컴포넌트가 생성된다.
API
요청 받아와 자료구조 만들기import deque from './deque.js';
import InfoNode from './InfoNode.js';
export default class APIdeque extends deque {
constructor() {
super();
this.fetchImg();
}
appendLeftNode(responseArr) {
const bindedAppendLeft = this.appendLeft.bind(this);
responseArr.forEach((res) => bindedAppendLeft(new InfoNode(res)));
}
render() {
const wrapper = document.querySelector('.card-wrapper');
for (let i = 0; i < 5; i += 1) {
const newCard = this.pop().node;
wrapper.insertBefore(newCard,wrapper.firstElementChild);
}
}
fetchImg() {
/* 서버가 벙렬 처리를 지원하지 않는다. */
const url = 'https://api.thecatapi.com/v1/images/search';
const appendLeftNode = this.appendLeftNode.bind(this);
const render = this.render.bind(this);
const urlArr = Array.from({ length: 5 }, (_, index) => url);
Promise.all(urlArr.map((url) => fetch(url).then((res) => res.json())))
.then((responseArr) => {
return responseArr.map((item) => new InfoNode(item[0]));
})
.then(appendLeftNode)
.then(render)
.catch((e) => {
/* 너무 자주 요청을 보내 error 상태코드가 뜨면
3초후 다시 요청을 보내도록 함
*/
console.error(e);
setTimeout(() => {
this.fetchImg();
}, 3000);
});
}
}
자료구조를 담을 dequeue
를 상속받은 APIdeqeue
를 생성해주자
APIdequeue
는 파싱해온 id , url
들을 담은 InfoNode
들을 자료구조에 담고 render
메소드를 통해 카드 뒤편으로 추가해준다.
코드들을 모듈화 시켜서 여기저기서 호출해주니까
this
바인딩이 모두 꼬여서bind
메소드를 여기저기 붙여주었다.
오류가 안날 때 까지 여기저기 바인딩을 했다 말았다를 반복했다.
모듈화 했을 때this
들이 어떻게 설정되는지 시간내서 더 공부해봐야겠다.
그럼 이제 API
요청을 저장 할 자료구조인 InfoNode
도 생성했고
InfoNode
들을 저장할 APIdeqeue
도 저장해줬다.
이제는 카드가 스와이프 될 때 마다 어떤 임계점마다 API
요청을 받아오도록 해주면 된다.
import APIdeque from './APIdeque.js';
export default class Cards {
constructor() {
this.wrapper = document.querySelector('.card-wrapper');
this.cardWidth = document.querySelector('.card').clientWidth;
this.setup();
this.mounted(); /* 새롭게 추가 */
}
...
chooseCard = (delay = 1000) => {
const { current, offset } = this;
current.style.transition = `all ${delay}ms`;
current.style.transform = `
translate3D(${offset.X * 5}px , ${
offset.Y * 5
}px , 0px)`;
/* 카드가 하나 선택 될 때 마다 카드 개수 1개 감소 */
this.count -= 1;
/* 카드가 선택되면 카드를 더 가져와야 하는지 확인 */
if (this.count < 5) {
this.deque.fetchImg();
this.count += 5;
}
setTimeout(() => {
this.wrapper.removeChild(current);
this.setup();
}, delay * 0.7);
};
...
mounted() { /* Cards 가 호출된 후 실행되는 메소드 */
this.deque = new APIdeque();
this.count = 6; /* fetchImg 를 통해 최초로 가져온 이미지 개수 */
}
}
카드가 하나 선택 될 때 마다 this.count
를 하나씩 감소시켜주자
이후 this.count
가 5개 이하가 되면 다시 6개를 파싱해와 채워주도록 하였다.
파싱 이후 채워주는 행위를 async/await
가 아닌 프로미스 체이닝을 이용해줘
파싱해오는 동안에도 여전히 스와이프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주었다.
MeowTinder
├─ index.html
├─ main.js /* 엔트리 파일 */
├─ src
│ ├─ APIdeque.js
│ ├─ Cards.js
│ ├─ deque.js
│ ├─ heart.svg
│ └─ InfoNode.js
└─ style.css
파일 디렉토리를 다음처럼 구성해준 후 엔트리 파일에서 함수를 호출해주도록 하자
/* main.js */
import Cards from './src/Cards.js';
new Cards();
토이프로젝트를 안한지 일주일 정도 지나니까 너무 심심해서
유튜브에서 주제를 탐방하고 재밌어보이는 것을 만들어봤다.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오래걸렸는데
그 이유는 this
이 놈 때문이였다.
모듈로 파편화 된 여러 클래스들에서 여기 저기서 호출되는 this
들을 추적하는게 너무 어려웠다.
운 좋게도 최근에 this
와 관련된 여러 메소드들을 한 번 더 훑었어서 this
가 문제란 것은 금방 알아차릴 수 있었으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너무 어려웠다.
심지어 구현이 된 지금도 어떻게
this
들이 호출되고 있는지 상상이 잘 안된다.
이틀 밖에 안걸린 토이프로젝트였으나 하면서 가장 느낀건
키보드 두들기기 전에 깊게 생각하고 문서화 하자 였다.
완성에 가까워질 수록 마음만 급해져서 깊게 생각안하고 코드만 계속 치다보니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 머리속으로 곰곰히 생각하기 ..
끝~!!
좀 더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토이프로젝트들을 구경하면서 느낀 것은
이벤트에 따라 style
값 변화를 줄거면
그냥 class
로 스타일들을 정의해두고
이벤트에 따라 클래스를 add
하고 remove
하는 등으로 해야겠다.
예를 들어
/* Cards.js */
initializeCard = (delay = 1000) => {
const { current } = this;
current.style.transition = `all ${delay}ms`;
current.style.transform = 'translate3D(0px,0px,0px)';
setTimeout(() => {
current.style.transition = '';
this.setup();
}, delay);
};
이런 경우도 그냥 저런 스타일들을 class
로 정의해둔 후 add , remove
만 했으면 훨씬 코드가 깔끔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