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에서 nCloud를 활용해 서버를 세팅하는 과정을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CentOS, Node.js, npm, Git, MySQL)
과금에 대한 부분은 nCloud의 정책에 따라 변동이 있습니다.
NAVER CLOUD PLATFORM(https://console.ncloud.com/) 접속 -> 우상단 콘솔 클릭

로그인

Dashboard->좌측 메뉴 Services 클릭

Servicecs -> 중간 compute - Server 클릭

Server현황을 볼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서버생성을 클릭

서버 생성을 위한 이미지를 선택 -> 다음 클릭
- 실습: centos-7.8-64을 사용

서버 설정을 선택 -> 다음 클릭
- 스토리지, 서버세대, 서버 타입 필요에따라 선택(실습: Compact)
- 서버 이름 입력 등

인증키 설정
- 새로운 인증키 생성 - 인증키 이름 입력 - 인증키 생성 및 저장(pw설정시 필요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위치확인)
- 다음 클릭
- 기존의 인증서가 있는 경우 -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 이용

신규 ACG 생성 - +ACG생성 클릭

ACG생성 - ACG이름 - v 생성 클릭

확인 후 - v 서버생성

최초 서버 세팅시 수 분~수십 분 소요

생성중인 서버를 확인할 수 있다

생성이 완료되면 상태에 초록불이 들어온다

포트 포워딩 설정 클릭
외부포트 입력 - + 추가 클릭 - 적용 클릭
ACG 설정
myIp 클릭 - 허용포트 22 - + 추가 - v 적용
접속 password를 확인




터미널을 실행 - 접속 명령을 실행한다.
ssh {접속 ID}@{서버 접속용 공인 IP} -p {외부 포트}


yum install epel-release


curl -sL https://rpm.nodesource.com/setup_16.x | sudo -E bash -


sudo yum install -y nodejs


3. 버전 확인
node -v
npm -v

*설치가 잘 되지 않는다면, 삭제 후 다시 시도할 것.
sudo yum install git-all
설치

y입력


버전 확인
git --version

(wget 설치) 이미 설치되어 있음
yum install wget
repository 다운로드
wget http://repo.mysql.com/mysql80-community-release-el7-3.noarch.rpm

repository설치
rpm -ivh mysql80-community-release-el7-3.noarch.rpm
MySQL 버전 확인
yum repolist all | grep mysql | grep enabled
설치
yum install mysql-server




rpm --import https://repo.mysql.com/RPM-GPG-KEY-mysql-2022


service mysqld start
systemctl enable mysqld
cat /var/log/mysqld.log

9. 외부 접속
공인 IP를 할당 받기+ 공인IP 신청 - 적용 서버 선택 - 다음>
v생성 클릭



MySql5 버전을 완전 삭제 후 MySql8버전으로 설치하는게 좋다.(외부접속, 타임스템프 이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