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한달간 대략 900페이지에 가까운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라는 책을 완주하였다. HTML5와 CSS3을 공부하고, 해당 지식을 바탕으로 정적인 웹사이트를 만들다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동적인 웹사이트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변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념이다.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 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 개발자는 저장된 메모리 공간에
조건문: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반목문: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반복 실행\-->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음.\--> 하나의 실행 단위, 자체 종결성을 지니므로 세미콜론 사용 X\--> 주어진 조건식의 평가 결과
\-->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원시 값을 제외한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은 객체이다.원시 값: 변경 불가능한 값, 단 하나의 값만 나타냄객체 값: 변경 가능한 값,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 프로퍼티: 객체의
\*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함수, 스코프, 실행 컨텍스트, 클로저,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메서드, this, 프로토타입, 모듈화 ....\--> 입력을 받아 출력을 내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이며 중요한 개념!!\--> 스코프는 변수, 함수와 깊은 관련이 있다.\--> 식별자의 유효한 범위\-->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 \--> 이 예시에서 변수 x는 식별자 이름이 같지만, 스코프가 다른 별개의
객체 리터럴 vs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new 연산자와 함께 Object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면 빈 객체 생성하여 반환 \* 생성자 함수: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여 객체(인스턴스) 를 생성하는 함수 \-->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 인스턴
1) 무명의 리터럴로 생성 가능 (런타임에 생성 가능)2) 변수나 자료구조에 저장 가능 (객체, 배열 ...)3) 함수의 매개변수에 전달 가능4) 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 가능 \--> 함수는 일급객체이다. 객체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 객체는 값이므로 함수
\* 자바스크립트는 명령형, 함수형,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멀티 패러다임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바스크립트는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효율적 --> 더 강력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능력을 지니고 있는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지향
\* 객체: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동작을 나타내는 메서드를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은 복합적인 자료구조\* 동작을 나타내는 메서드는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재귀적으
\--> 자바스크립트의 동작 원리를 담고 있는 핵심 개념\--> 4가지 타입의 소스코드는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한다.1) 전역 코드\--> 전역에 존재하는 소스코드\--> 전역에 정의된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하지 않는다.전역 스코프 생성 -> var 키워드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이다.\*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 innerFunc 함수는 outerFunc 함수 내부에서 중첩된 함수이다. 따라서, 외부 함수 outerFunc의 x 변수에 접근이 가능하다.\--> 중첩되지 않는다면 outer
클래스는 프로토타입의 문법적 설탕인가? -->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이다. -->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는 클래스가 필요 없다. \* ES6에 도입된 자바스크립트의 클래스는 사실 함수이며 기존 프로토타입 기반 패턴을 클래스 기반 패턴처럼
최근 컴공선배에서 주관하는 부트캠프에 참여중인데, 리액트를 처음으로 접하면서 이것저것 시도해보고 있다. 리액트를 진행하면서 느끼는 점은 나의 자바스크립트 실력이 굉장히 허접하다는 것이다. 리액트에서 특히 많이 쓰는 화살표 함수나 배열같이 특히 많이 사용하는 문법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