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객체지향 설계(패키지 다이어그램)

윤효준·2025년 7월 27일
0

소프트웨어 공학

목록 보기
24/43

📦 패키지 다이어그램 생성

패키지 다이어그램은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클래스 간 관계를 고려하여 응집력이 높은 것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표현한 것이다.
전체 시스템을 상위 수준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패키지 다이어그램 작성 절차

1. 패키지 다이어그램을 작성할 대상물 선정

2. 클래스들의 관계를 고려하여 관련성이 높은 것들을 그룹핑해서 패키지로 정의

  • 일반화 관계를 형성하는 모든 클래스는 하나의 패키지로 묶는다.
  • 집합 관계를 형성하는 모든 클래스는 하나의 패키지로 묶는다.
  • 클래스의 의미적 속성을 고려하여 클래스를 패키지화할 것인지 결정한다.

3. 식별된 패키지에 적절한 명칭을 부여한다.

민약 명칭 부여가 어렵다면 패키지 분리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4. 패키지 간의 관계를 부여한다.

크게 연관 관계와 의존 관계가 있고 간혹 집합관게로 정의되는 것도 있다.

5. 패키지 관계를 정의하면 다이어그램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패키지 다이어그램을 완성한다.

🏗 계층화된 아키텍처 생성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와 이들 간의 관계를 체계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객체지향 방법에 따른 단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아키텍처를 표현하기 위해 3계층 아키텍처를 적용하는데 3계층은 다음과 같다.

  • HCI 계층: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클래스를 포함하는 계층
  • PD 계층: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도메인 클래스들을 포함하는 계층
  • DM 계층: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해당하는 데이터 클래스를 포함하는 계층

3계층 아키텍처를 생성하기 위해 PD 계층의 클래스들을 이용하여 UI 클래스와 DM 계층의 데이터 클래스를 생성한다.

profile
작은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하며, 누군가의 하루에 선물이 되는 코드를 작성해 갑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