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객체지향 분석(행위 모델링)

윤효준·2025년 7월 16일
0

소프트웨어 공학

목록 보기
14/43

분석 과정을 통해 개발 대상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능 모델링, 구조 모델링이 이루어지면 마지막으로 행위 모델링을 수행한다.
행위 모델은 시스템의 내적인 동작을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이다. 객체 간에 어떤 상호작용이 발생하는지를 나타내기에 행위 모델링은 클래스가 아닌 인스턴스(객체)를 기준으로 작성된다.

⏱️ 순차 다이어그램 구성 요소

순차 다이어그램은 객체 간의 상호작용, 즉 메시지 패싱에 대한 행위를 시간 축을 중심으로 나타낸다.

참여 객체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객체들을 식별한다. 참여 객체 간의 상호작용은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도록 표현한다.

시간 축

다이어그램의 세로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다. 시간 축은 각 객체가 활성화된 시간을 점선으로 표시하는데, 객체의 라이프라인이라고 한다.

실행 사건

실행 동작이 발생하는 기간을 길쭉한 사각형의 실행 사건으로 표현한다.

메시지 전달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기본 요소로, 객체 간의 함수 호출을 의미한다. 화살표로 표시되며 화살표에는 호출되는 메서드의 이름과 매개변수가 나타난다.

제어 로직

제어 로직은 소프트웨어의 행위를 표현하며, 선택, 반복, 병렬 처리 등이 있다.

Alternative

선택을 나타내는 제어 로직

Loop

반복 처리를 나타내는 제어 로직

Parallel

병렬 처리를 나타내는 제어 로직

🔄 상태기계 다이어그램 작성

상태기계 다이어그램은 시스템 상태들의 변화로 모델링하는 수단이다. 상태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변수들의 특정한 값들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벤트는 이러한 변수들의 값을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
작은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하며, 누군가의 하루에 선물이 되는 코드를 작성해 갑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