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모듈화 설계(모듈화 설계 개요)

윤효준·2025년 7월 21일
0

소프트웨어 공학

목록 보기
16/43

📦 모듈화란?

모듈화(Modularization)란 프로그램을 기능이나 책임 단위로 나누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구성 요소(모듈)로 만드는 설계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복잡한 시스템을 관리하기 쉽게 만들고, 변경이나 확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모듈화의 장점

✅ 이해하기 쉬움

모듈은 명확한 역할과 책임을 가지므로, 해당 모듈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체 시스템이 아닌 부분에 집중해도 이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학습 곡선이 낮아집니다.

✅ 협업 용이

모듈 단위로 작업을 나눌 수 있어 팀 단위 병렬 개발이 가능하며, 역할 분담이 명확해집니다.

✅ 변경 용이

기능 수정이나 개선이 필요한 경우, 영향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이는 유지보수의 복잡도를 크게 줄여줍니다.

✅ 재사용성 향상

기능 단위로 잘 분리된 모듈은 다른 프로젝트나 컨텍스트에서도 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추적성 향상

모듈화된 구조는 기능, 요구사항, 구현 간의 명확한 대응 관계를 제공하여 변경의 추적과 이력 관리가 쉬워집니다.


🏗️ 소프트웨어 설계 단계에서의 모듈화

소프트웨어 설계는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구조화된 시스템 형태로 구체화하는 단계입니다. 이때 모듈화는 핵심 원칙으로 작용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고려합니다:

💡 좋은 설계의 특성

🔹 계층적 구조

설계는 상위 개념부터 하위 세부사항으로 점진적으로 분해되는 계층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하며, 각 계층은 모듈화 원칙을 따릅니다.

🔹 모듈 중심 구성

시스템은 **기능 또는 책임 단위의 독립적인 컴포넌트(모듈)**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이는 아키텍처 설계 수준에서도 중요하며,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관심사의 분리 (SoC: Separation of Concerns)

UI,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관리 등 서로 다른 책임을 갖는 구성 요소는 명확히 분리되어야 합니다. 이는 설계의 명확성과 변경 대응력을 높입니다.

🔹 독립적인 구현 가능성

설계된 각 요소는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구현 가능한 기능 단위가 되어야 하며, 이는 앞서 말한 "모듈 중심 구성"과 유사하지만 설계 → 구현의 연결 측면에서 더 강조되는 포인트입니다.

💬 Q. "설계 결과는 모듈로 구성되어야 한다"와 "독립적인 특성이 있는 기능 단위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중복 아닌가요?


🧠 마무리 정리

모듈화를 고려한 설계는 초기 설계 비용은 증가할 수 있지만, 이후 유지보수와 기능 확장에서 비용과 리스크를 획기적으로 줄여줍니다. 따라서, 우수한 소프트웨어는 모듈화가 잘 되어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profile
작은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하며, 누군가의 하루에 선물이 되는 코드를 작성해 갑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