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프로젝트 중 이클립스 web.xml 파일에 MySQL DB 연결을 위해 연결 정보를 컨텍스트 초기화 매개변수로 주는 중, 접속 URL 부분에 자꾸 이런식으로 오류가 났다. MySQL이 버전업 되면서, SSL을 사용하는 것이 Default가 되었고, 이때, SSL
이클립스 xml파일 The word '__' is not correctly spelled 경고 이클립스 xml파일을 수정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The word '__' is not correctly spelled 경고를 볼 수 있다. 나는 web.xml 파일에 My
DTO (Data Transfer Object) - 데이터 전송객체란? DTO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때 사용되는 객체로, 순수하게 데이터만을 담고 있다. (다른 로직x) 이러한 특성 때문에 데이터만 가지고 있는 객체라 하여, 값 객체(Value Object) 라고
JDBC 란? JSP에서 DB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API 이다.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는 무엇을 사용하든 상관없다. (my SQL,
리눅스는 여러 사용자가 들어와 사용하는 멀티유저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여러 사용자가 들어와 사용하다 보면, 서버에 올려진 비밀번호 열람과 그것을 변조, 수정, 삭제 우려가 높아지게 됩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눅스OS 에는 퍼미션(권한) 이라는 기능이 존재합
이전 포스팅에서도 설명하였듯이, 프로그램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자원들(color(색깔), string(문자열), dimen(위젯들의 크기 등 .. )은 모두 .xml 파일 형태로 res 디렉터리 아래에 저장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자원들을 Kotlin 클래스(Mai
프로그램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자원들(color(색깔), string(문자열), dimen(위젯들의 크기 등 .. )은 모두 .xml 파일 형태로 \_\_res\_\_ 디렉터리 아래에 저장됩니다.또, 화면 레이아웃과 그 안에 텍스트뷰, 버튼 등 과 같이 사용자에게 보이
안드로이드 뷰는 안드로이드 개발을 편하게 하기위해 실제 디렉터리 구조인 Project 뷰를 재배치한 가상의 디렉터리를 보여줍니다. 실제 디렉터리 구조인 Project 뷰의 구조는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 작업할때는 이를 보기 쉽게 재배치한 안드로이드
📌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프로그래밍을하는데 필요한 리눅스 기본 명령어를 다뤄보려 합니다. 디렉터리를 사용하기 위한 디렉터리 관련 명령은 현재 디렉터리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디렉터리로 이동하고, 디렉터리의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과 디렉터리를 생성, 복사, 삭제 하
빛의 밝기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센서이다. 빛이 밝으면 저항이 작아지고, 빛이 어두우면 저항이 커진다. 빛의 세기 -> 저항변화 -> 전압변화2M옴 저항이 1000 : 1 로 나뉘게 됨이때 전류가 5V가 흐르기 때문에 위에 4.995V, 아래부분에는 0.005V가 흐
⛓ JSP 출력 버퍼(Buffer) 버퍼(Buffer)는 데이터가 전달되는 중 임시 저장공간 역할을 합니다. JSP는 기본적으로 페이지 처리결과를 곧바로 클라이언트로 출력하여 응답하지 않고, 이 출력 버퍼에 모아두었다가 한꺼번에 응답 합니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내장 객체의 영역은 각 객체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유효기간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클래스 단위로 구성된 자바 프로그래밍에서의 지역변수를 생각해 보면, 메소드 내에서 선언된 변수는 해당 메소드를 벗어나면 소멸됩니다. ( + for문 내에서 선언된 변수 또한 해당 for문이
response 내장객체는 request 내장객체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자 응답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client 요청을 처리하고,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웹 브라우저로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페이지 이동을 위한 리다이렉트(redirect) 지정헤더 정보
다음 회로구성을 보면 디지털핀 7번은 오른쪽 더듬이와, 디지털핀 5번은 왼쪽 더듬이와 연결되어있다.더듬이가 장애물이나 물체에 걸려 디지털 핀에 닿게 되면, 보드의 나사구멍(절연칠이 되어있지 않음)을 통해 전류가 GND로 흘러 회로가 작동한다. 더듬이의 기둥이 연결되어
이 포스팅에서는 JSP 공부를 하는데 있어 부족했던 네트워크 부분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할 때 보내는 데이터를 HTTP 패킷이라고 합니다. 이 용어의 의미를 분석해보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앞에 HTTP가 붙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JSP의 내장객체를 이해하기 위해선 웹의 동작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웹은 그림과 같이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Request)를 보내면 서버가 그에 맞는 결과를 응답(Response)으로 돌려주는 형태로 동작합니다. 이때, JSP 내장객체는 요청과 응답, 혹은
아두이노에서 서보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ervo.h 라이브러리를 include 해서 사용해야 한다.\`지정한(포트)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할 수 있게 한다.서보모터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함수로, 1500 기준(정지) 1300 ~ 1700 사이값을 주어, 그 값
아두이노에서 입/출력은 크게 디지털 방식과 아날로그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LED 제어, 모터제어, 소리음 만들기(부저) 등푸시 버튼이나 간단한 센서 감지 등디지털 출력으로 사용하는 포트 중 '~' 표시가 있는 포트들은 PWM 기능이 있는 포트들이다. LED 밝기 조
스크립트 요소는 JSP에서 Java 코드를 직접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스크립트 요소는 용도에 따라 선언부 <%! %>, 스크립틀릿 <% %>, 표현식 <%= %> 으로 나뉩니다. JSP는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받아 실행될 때 ja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