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 2] 귤 고르기 - 138476

Genne Chung·2024년 2월 28일
0

문제 설명

경화는 과수원에서 귤을 수확했습니다. 경화는 수확한 귤 중 'k'개를 골라 상자 하나에 담아 판매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수확한 귤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보기에 좋지 않다고 생각한 경화는 귤을 크기별로 분류했을 때 서로 다른 종류의 수를 최소화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경화가 수확한 귤 8개의 크기가 [1, 3, 2, 5, 4, 5, 2, 3] 이라고 합시다. 경화가 귤 6개를 판매하고 싶다면, 크기가 1, 4인 귤을 제외한 여섯 개의 귤을 상자에 담으면, 귤의 크기의 종류가 2, 3, 5로 총 3가지가 되며 이때가 서로 다른 종류가 최소일 때입니다.

경화가 한 상자에 담으려는 귤의 개수 k와 귤의 크기를 담은 배열 tangerine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경화가 귤 k개를 고를 때 크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문제 풀이

종류를 가장 줄이기 위해서는 최대한 많은 귤이 속해 있는 종류를 먼저 없애면 된다. 따라서 간단하게 그냥 정렬한 뒤 하나씩 없애주면 된다.

처음에는 단순히 pop을 썼는데, 이렇게 하니 실행 시간이 오래 나온다. 리스트 left pop을 하게 되면 파이썬 리스트 구조상 하나씩 뺐다가 옮겼다 하는 미친 작업을 반복해야 되기 때문.

따라서 deque를 활용해서 leftpop을 해줬다.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deque

def solution(k, tangerine):
    answer = 0
    
    counter = Counter(tangerine)
    sizes = deque(sorted([(size, n) for size, n in counter.items()], key=lambda x: x[1], reverse=True))
    
    while k > 0:
        k -= sizes.popleft()[1]
        answer += 1
    return answer 

Counter는 모든 리스트에 등장하는 원소의 개수를 세어 준다.

profile
NLP / LLM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