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전 관리: 각 버전 별로 변견된 이력들을 저장하는 작업
개발자의 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개발된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
소스 코드 기록을 관리하고 추적할 수 있는 버전 관리 시스템
소스 코드가 변경된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시점에 저장된 버전과 비교하거나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Snapshot: 특정 시점에 생선된 백업 본사본
Commit: 하나하나 스냅샷을 만들어 주는 작업
Git Repository를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즉, Git으로 버전을 관리하는 폴더에 대해서 Github를 통해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다.
git init: 작업 공간에 local Git repository를 생성
git add: Staging area에 추가
- git add <경로명>
- git add .:현재 경로에서 변경이 감지된 모든 파일을 한번에 추가
git status: 온전히 저장하고 싶은 코드를 모아놓은 묶음, staging area로 잘 옮겨졌는지 확인, 리포지토리 상태 확인
git commit: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을 commit
- staging area 코드의 용도를 적어두는 행위 (git commit -m "commit message")
git remote: 원격 리포지토리를 다루기 위한 명령어
git remote add <name> <URL>: 로컬 리포지토리에 원격 리포지토리 주소를 등록
- <name>: 앞으로 로컬 리포지토리에서 원격 리포지토리 주소를 대신할 이름 (ex: origin)
- <URL>: 원격 리포지토리 주소
git remote -v: 원격 리포지토리가 잘 연결됐는지 확인
git push: 로컬 리포지토리에 기록한 내역을 원격 리포지토리에 옮기는 작업
- git push <remote> <branch>
- remote: 원격 리포지트리의 이름을 입력
- branch: 브랜치 이름 입력
git push -u <remote> <branch>: 해당 브랜치에 내용을 업데이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