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Authentication):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절차로,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 하게 하는 것
인가(Authorization): 사용자에 사용 권한을 허락해 주는 절차로, 어떤 서비스에 로그인한 후에 이뤄지는 사용자의 행위에 대해 허가해 주는 것
OAuth 2.0은 인터넷 사용자가 제3자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데이터를 특정 기간 동안 제한된 권한으로 액세스하도록 허용할 수 있게 하는 인증 및 권한 부여 프로토콜이다. OAuth 2.0은 보안이 강화된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비밀번호를 공유하지 않고도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ref: https://www.geeksforgeeks.org/workflow-of-oauth-2-0/
리소스 소유자 : 나
리소스 서버 : 나의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
클라이언트 : 내가 이용할 어플리케이션
권한 부여 서버: 인증 처리를 대신할 서버
예를 들어, 내가 프로그래머스 사이트에 회원가입할 때 나의 네이버 계정을 통해 생일, 프로필 이미지를 가져와 가입을 진행한다면 다음과 같다.
리소스 소유자 : 나
리소스 서버 : 네이버 계정 데이터가 담긴 서버
클라이언트 : 프로그래머스
권한 부여 서버: 네이버 로그인 서버
그렇다면 OAuth1.0 과 OAuth2.0 의 차이는 무엇일까? 그리고 왜 OAuth1.0 은 사라지게 된걸까?
이외에도 보안 방식 개선(암호화 및 서명), 다양한 인증 흐름 지원, 간편한 구현 등을 통해 개발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이유도 있다.
OAuth2.0 은 사용자 인증보다는 권한을 부여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즉, API를 연동하고 허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증보다는 인가에 가까운 프로토콜이다.
OpenID는 비영리기관인 OpenID Foundation에서 추진하는 개방형 표준 및 분산 인증 프로토콜이다. 즉, OpenID는 인증을 위해 등장했다.
OpenID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는 사용자는 웹사이트마다 모두 각자 계정을 만들고 관리할 필요가 없다. 대신 그들은 자신이 신뢰하는 OpenID 서비스 제공자(구글, 카카오 등)가 제공하는 OpenID 인증 서비스 하나만을 이용하여 인증하면 된다.
OpenID는 2006년 1.0버전을 표준으로 출시되었고, 이후 2007년에 2.0버전이 출시되었다. 그리고 2014년 3세대 OpenID로 OpenID Connect(OIDC)가 등장하게 되었다.
용어
OpenID는 대표적으로 2가지의 주체를 가리키는 용어가 존재한다. IdP와 RP이다.
- IdP (Identity Provider)
IdP는 구글, 카카오와 같이 OpenID 서비스를 제공하는 당사자이다.- RP (Relying Party)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IdP에 의존하는 주체이다. 'OOO으로 로그인하기' 따위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등을 의미한다.
OpenID Connect(OIDC)는 OpenID와 OAuth 2.0을 결합한 인증 프로토콜로, OAuth 2.0을 기반으로 하여 인증 기능을 추가한 표준이다. OIDC는 OAuth 2.0의 장점을 활용하면서 사용자 신원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ref: https://hudi.blog/open-id/
앞서 OAuth2.0, OIDC 는 각 권한 및 인증을 JSON 기반으로 만든 표준이지만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은 XML 기반의 인증 및 권한 부여 표준이다. SAML은 사용자가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하나의 계정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SAML은 사용자 인증을 외부의 신뢰할 수 있는 인증 제공자(Identity Provider, IdP)로부터 받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인증 결과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SAML의 주요 구성 요소
1. Identity Provider (IdP):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 토큰을 발급하는 역할. 예를 들어, 회사의 IdP가 직원의 신원을 확인하고 SAML 응답을 발급한다.
2. Service Provider (SP):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로, IdP로부터 인증을 받고 접근 권한을 부여받는 곳이다. 예를 들어, 사내 포털이나 클라우드 서비스.
3. SAML Assertion: IdP가 SP에게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되는 XML 형식의 데이터. 이 어설션에는 인증, 사용자 속성, 권한 부여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ref: https://knowledgehub.smartcommunications.com/v16/docs/saml
특징 | SAML | OAuth 2.0 | OpenID Connect (OIDC) |
---|---|---|---|
주요 목적 | 인증 및 권한 부여 (주로 SSO) | 권한 부여 (데이터 접근 권한 부여) | 인증 및 권한 부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OAuth 확장) |
표준 형식 | XML | JSON (주로 JWT) | JSON (JWT 기반) |
사용 환경 | 주로 기업 환경 및 엔터프라이즈 |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의 권한 위임 | OAuth 2.0 기반으로 다양한 웹 및 모바일 앱에서 사용 가능 |
주요 활용 | SSO 및 연합 인증 | 제3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한된 데이터 접근 권한 부여 | 사용자 인증을 위한 SSO 및 OAuth 확장 |
• SAML은 기업용 SSO 및 내부 애플리케이션 통합에서 주로 사용된다.
• OAuth 2.0은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접근 권한 부여를 위한 프로토콜로, 로그인보다는 권한 위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OpenID Connect는 OAuth 2.0을 확장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프로토콜로 발전시킨 표준이다.
최근에는 간소화된 쿼리 파라미터 및 JSON 을 사용하는 OIDC 가 널리 사용되지만 2005년 때부터 SAML 2.0을 통해 구축된 SSO 를 사용하는 기관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SAML 2.0 또한 알아두면 좋다. KeyCloak 에서는 OIDC 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SAML 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두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다.
Zero Trust는 “절대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한다”는 보안 접근 방식으로, 네트워크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접근 요청을 검증하고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통적인 네트워크 보안 모델은 내부는 신뢰하고 외부는 불신하는 방식을 따랐지만, Zero Trust는 내부와 외부를 불문하고 모든 접근 시도를 무조건 신뢰하지 않고 확인한다.
Zero Trust의 주요 원칙
특징 | 전통적 보안 모델 | Zero Trust 보안 모델 |
---|---|---|
신뢰 범위 | 네트워크 내부 신뢰, 외부 불신 | 내부/외부 무관하게 모든 접근 요청을 검증 |
검증 방식 | 한 번 검증 후 대부분 신뢰 | 매번 사용자와 장치를 검증 |
네트워크 세분화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전체를 신뢰 | 세분화하여 네트워크 내에서도 권한에 따른 접근 제어 |
사용자 접근 권한 | 필요 이상의 권한 부여 가능 | 최소 권한 접근 원칙 적용 |
keycloak 은 인증 및 권한 부여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인증 방식과 세분화된 접근 제어 정책을 통해 사용자 인증과 자원 접근 관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keycloak 은 OAuth2.0, OIDC, SAML 모두 지원하며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다. Keycloak은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다양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와 SDK를 제공하므로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쉽게 통합할 수 있다.
JWT(JSON Web Token)는 JSON 형식으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 당사자 간에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토큰이다. JWT는 인증과 권한 부여를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JWT 는 헤더, 페이로드, 서명 세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ref: https://velog.io/@beberiche/JWT-%EC%97%90-%EB%8C%80%ED%95%B4-%EC%84%A4%EB%AA%85%ED%95%B4%EC%A3%BC%EC%84%B8%EC%9A%94
헤더에는 토큰의 타입과 알고리즘을 명시한다.
{
"alg": "HS256",
"typ": "JWT"
}
이때 알고리즘은 되도록 none 을 피한다.
사용자의 정보 및 토큰 만료시간 등을 제공한다.
{
"sub": "1234567890",
"name": "John Doe",
"admin": true,
"exp": 1700000000
}
헤더와 페이로드를 인코딩한 후 비밀키를 사용하여 서명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JWT 를 사용한 사례를 해당 포스트에서 소개하고 있어 분석해보았다.
인증 서버: 애플 개발자 콘솔
백엔드 서버: 애플의 푸시 메시지 발송 API인 APNs Provider API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애플 개발자 콘솔로부터 발급받은 비밀키를 사용하여 서명을 만든다. 그리고 APNs 에 보내게되면 APNs 는 애플 개발자 콘솔로부터 받은 public key 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public key 는 별도로 DB 같은 곳에 저장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호출 수도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