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의 종류 (DDL, DML, DCL, TCL)

Lys·2023년 12월 6일
0

데이터베이스

목록 보기
18/18

SQL이란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변경,삭제 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이다. 직접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DDL 명령어를 입력하는 순간 명령어에 해당하는 작업이 즉시 완료되며 CREATE,ALTER,DROP 가 있다.

  • CREATE
    SCHEMA,DOMAIN,TABLE,VIEW,INDEX 를 생성할 때 사용한다.
  • ALTER
    SCHEMA,TABLE를 수정할 때 사용한다.
  • DROP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

DML (데이터 조작 언어,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언어로 DML 명령에 의한 변경은 데이터베이스에 영구적이지 않기 때문에 RollBack을 통해 되돌릴 수 있으며 SELECT,INSERT,DELETE,UPDATE 가 있다

DML의 경우 조작하려는 테이블을 메모리 버퍼에 올려 놓고 작업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테이블에 영향을 미치치 않는다.
  • SELECT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검색할 때 사용한다.
  • INSERT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일 할 때 사용한다.
  • DELETE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 조건에 맞는 특정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
  • UPDATE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데이터의 컬럼값을 수정할 때 사용한다.

DCL (Date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제어 언어)

DDL로 정의 된 구조에 어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지 권한을 부여하거나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GRANT,REVOKE 가 있다.

  • GRANT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 REVOKE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을 취소한다.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트랜잭션 제어 언어)

데이터의 보안,무결성,회복,병헹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COMMIT,ROLLBACK,SAVEPOINT 가있다.

  • COMMIT
    트랜잭션의 작업 결과를 저장하고 반영한다.(트랜잭션 완료)
  • ROLLBACK
    데이터베이스를 마지막 COMMIT 된 시점의 상태로 복원한다.
  • SAVEPOINT
    현 시점에서 SAVEPOINT를 지정하여 트랜잭션의 일부만 ROLLBACK 가능한다.

🙇‍ 참고 사이트 🙇‍

https://mimi-coding.tistory.com/10
https://velog.io/@wngud4950/SQL%EC%9D%98-%EC%A2%85%EB%A5%98
https://dev-coco.tistory.com/56
https://velog.io/@jude0124/DBMS-%EB%8D%B0%EC%9D%B4%ED%84%B0-%EC%96%B8%EC%96%B4-DDL-DML-DCL-TCL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