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들을 어떤 특정한 조직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 또는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하고 동시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통합하여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이다. 데이터란 현실 세계에서 사건이나 사물의 특징을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기술하는 가공되지 않은
Table(테이블) 행(ROW)과 열(Column)로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 집합으로 흔히 볼 수 있는 표라고 생각하면 된다. 행(ROW)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들 중 가로로 묶은 데이터셋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튜플(Tuple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데이터베이스 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한다. SQL은 구조화 된 쿼리 언어이며,데이터베이스에 쿼리를 보내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삽입할 수 있다. SQL 특징 선언적 언어이다. 명령어를 이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정확성,일관성,유효성이 유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무결성 설계를 하지 않는다면 테이블에 중복된 데이터 존재, 부모 자식 데이터간의 논리적 관계 깨짐, 잦은 에러와 재개발 비용 발생 등과 같은 문제가
데이터베이스의 제약 조건 테이블 단위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규칙 테이블 수정 작업하는 경우에 잘못 된 트랜잭션 수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테이블 간 제약 조건이 있어서 종속성이 있는 경우 테이블 삭제를 방지한다. > #### PK(Primary Key)
트랜잭션 트랜젝션은 한 개 이상의 SQL문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단위로 작업의 안정성을 보장해준다. 즉 논리적인 작업을 모두 완벽하게 처리하지 못 할 경우에는 원 상태로 복구하여 일부만 적용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만들어준다.
데이터베이스 키(Key)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하기 위해 모든 속성을 이용하는 것 보다는 일부 속성만 이용하는 것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릴레이션에 포함된 퓨틀들을 유일하게 구별해주는 역할은 속성 또는 속성들을 키(key)라고 한다. > #### 키(Key)의 특징
인덱스(Index)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대한 검색 성능의 속도를 높여주는 자료구조를 말한다. 쉽게 말해 책에서 원하는 내용을 찾을 때 책의 모든 페이지를 찾아보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책의 저자들은 목차를 추가하는데 이러한 색인에 데이터베이스의 Index와
정규화(normalization) 이상현상이 있는 릴레이션을 분해하여 이상현상을 없애는 과정으로 이상이 있는 관계를 재구성하여 잘 조직된 관계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즉 테이블간에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결성을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의 교환이나 데이터베이스 갱신 등과 연관 되는 작업들을 수행하는 작업의 논리적인 단위를 말한다.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등과 같은 조작어를 사용하는 행동을 의미하며 이런 트랜잭션은 상황에 따라 여러개
이상현상(Anomaly) 잘못 된 테이블 설계로 인해 데이터들이 불필요하게 중복되어 데이터 수정,삽입,삭제 연산을 수행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정규화를 거치지 않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속성들이 종속관계를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하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
병행(Concurrency)이란 매우 빠르게 여러 트랜잭션 사이를 이동하면서 조금씩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실제로는 한 번에 한 트랜잭션만 수행하지만, 마치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 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병행제어(Concurrency C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특정 목적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계층형(Hierarchical), 망형(Network), 관계형(Relational) 등으로
레디스(Redis) Remote Dictionary Storage의 약어이다. 싱글 스레드 방식으로 인해 원자적이고 독립적인 연산 수행이 가능하다. Key-Value 데이터 구조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 구조를 제공하며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 저
Lock Lock란 트랜잭션 처리의 순차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사용자들이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접근하는 상황에서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지키기 위해 사용한다. > #### Lock설정 범위 데이터베이스 :1개의 세션만이 DB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
클러스터링(Clustering) 무리를 이룬다는 뜻으로, 서로 유사한 속성을 갖는 데이터를 같은 군집으로 묶어 주는 작업을 의미한다.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대의 서버가 관리하도록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으로 수평적 구조로 구축한다. Active-Active 방식과
데이터베이스 장애 정해진 명세대로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쉽게 말해 DB오류이다. 장애 발색시 회복 작업의 단위가 바로 트랜잭션이 되며, 장애의 종류로는 1.트랜잭션 장애 2.시스템장애 3.미디어 장애가 있다. >#### 데이터베이스 장애의 종류 트랜
SQL이란 >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변경,삭제 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이다. 직접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DDL 명령어를 입력하는 순간 명령어에 해당하는 작업이 즉시 완료되며 CREATE,ALTER,DROP 가 있다.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