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IP와 사설IP

Lys·2023년 10월 21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9/19

IP(Internet Protocol)란?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

  • IP주소는 IPv4, IPv6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IP 주소라 하면 IPv4 주소를 말한다.
  • IPv4 : IP version 4의 약자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첫 번째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주소는 32비트 방식으로, 8비트씩 4자리로 되어 있으며 각 자리는 온점으로 구분한다.
    ex) 115.68.24.88
    IPv4는 0 ~ 2^32 (약 42억 9천)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는데,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자 수가 급증하면서 IPv4 주소가 고갈될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주소가 바로 IPv6이다.

  • IPv6는 IP version 6의 약자로, IPv4의 주소체계를 128비트 크기로 확장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이다.
    16비트씩 8자리로 각 자리는 콜론으로 구분한다.
    ex) 2001:0DB8:1000:0000:0000:0000:1111:2222
    네트워크 속도, 보안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여러 면에서 뛰어나지만
    기존의 주소체계를 변경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서 아직 완전히 상용화가 되지 않았다.
    가정에서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 TV, 공기청정기, 세탁기, 건조기 등의 이런 가전들에는 모두 IPv6 주소가 할당되어 있다.

공인IP란?

  •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이다. 공용 IP 주소라고도 불리며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주소이다.
  •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를 갖는다.
  • 공인ip는 각 나라들 마다 관리하는 기관이 있는데 우리 나라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 공인 IP 주소가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PC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화벽 등의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 공인 IP는 정적(static)이거나 동적(dynamic)일 수 있다.
    • 정적 IP : 장치에 주소가 할당되고 변경되지 않는다.
      보통은 항상 동일하게 액세스 할 수 있어야 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에 적합한 방식이다.
    • 동적 IP : 주기적으로 변경된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굳이 IP가 일정하지 않아도 괜찮기 때문에 동적이다.
      공유기를 껐다 켜거나 노트북을 재부팅하면 IP 주소가 변경되기도 하는 이유가 바로 동적 IP를 할당받았기 때문이다.
      동적 IP를 사용하는 이유는 할당할 수 있는 IP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그 때 그 때 효율적으로 IP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설IP란?

  •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 등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 주소이며, 로컬 IP, 가상 IP라고도 한다. - IPv4의 주소부족으로 인해 서브넷팅된 IP이기 때문에 라우터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상의 PC 나 장치에 할당된다.
    (참고) 라우터 : 각기 독립된 네트워크들을 연결시켜주는 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분할/구분시켜 연결하는 장치이다.

  • 내부망을 쓰는 회사 직원들의 컴퓨터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한다. 회사에서 본인 PC의 IP를 확인해보면 아마 192.168.. 형태가 가장 많을 것이다. 사설 IP는 쓸 수 있는 대역이 정해져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대역이다. 사설 IP는 사용되는 네트워크 안에서는 고유하기 때문에 통신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

  • 사설 IP로 인터넷에 직접 액세스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192.168.1.100라는 IP 주소는 A회사의 김 대리 컴퓨터에도 있고 B회사의 박 과장 컴퓨터에도 있고 C회사의 서 차장 컴퓨터에도 있다. 인터넷에서 식별이 불가능하다.
    내부망에 있는 컴퓨터가 인터넷망에 액세스하려면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가 필요하다. 내부망에 있는 컴퓨터들은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라우터는 공인 IP가 있다. 예를 들어, 라우터에 할당된 IP가 199.167.29.5라고 치면, 해당 라우터에 연결된 PC는 인터넷망에 액세스 할 때 모두 199.167.29.5라는 IP를 달고 나가는 식이다. 인터넷에서 전달받은 응답은 라우터가 알아서 요청을 보냈던 PC로 전달한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NAT는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시켜주는 기술을 말하며
    NAT 사용의 장점은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사람들이 공유해서 쓸 수 있게 해주며 외부 공공망으로부터 고유한 사설 망으로의 침입을 어느정도 방지해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공유기를 통해 노트북, 데스크탑, 핸드폰, 스마트 TV등을 하나의 IP로 연결해서 쓰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
    -> SNAT: 내부 사설 IP에서 외부 공인 IP로 변환
    -> DNAT: 외부 공인 IP에서 내부 사설 IP로 변환

공인 IP (Public IP)사설 IP (Private IP)
할당 주체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라우터(공유기)
할당 대상개인 또는 회사의 서버(라우터)개인 또는 회사의 기기
고유성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주소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
공개 여부내/외부 접근 가능.외부 접근 불가능

내 컴퓨터 IP 확인하는 방법

  • 공인IP 확인하는 방법
    1.네이버에서 "내 아이피"를 검색
    2.공유기 내부에서 인터넷 연결 정보 확인

  • 사설IP 확인하는 방법
    1.윈도우+R키 실행 -> cmd 입력 -> ipconfig 입력 후 엔터
    2.공유기 내부에서 인터넷 연결 정보 확인


🙇‍ 참고 사이트 🙇‍

https://study-recording.tistory.com/7
https://velog.io/@hidaehyunlee/%EA%B3%B5%EC%9D%B8Public-%EC%82%AC%EC%84%A4Private-IP%EC%9D%98-%EC%B0%A8%EC%9D%B4%EC%A0%90
https://change-words.tistory.com/entry/public-IP-private-IP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