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란(Network)? 네트워크란 Net + Work의 합성어로 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를 의미하며 컴퓨터망이라고도 불린다. 즉 쉽게 이야기 하면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I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작용 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으로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개발한 모델이다. 7계층으로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7계층 중 하나
OSI 7 계층 중 전송계층은 프로토콜 내에서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인데,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요구 등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러한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바로 TCP와 UDP이다. IP란? :
3-way-handshake > TCP는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하기 위하여 3-way handshake를 사용한다. TCP 3 Way Handshake는 TCP/IP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는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정확한 전송을 보
TCP 통신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신뢰적인 연결 방식이며, 가장 큰 특성이 신뢰성이다. 신뢰성이란 중간에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는 것을 뜻하는데 이러한 신뢰성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흐름 제어, 혼잡 제어가 있다. 흐름제어(Flow Control) > - 송신측과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 서버가 처리해야 할 업무 혹은 요청(Load)을 여러 대의 서버로 나누어(Balancing)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 대의 서버로 부하가 집중되지 않도록 트래픽을 관리해 각각의 서버가 최적의 퍼포먼스를 보일 수 있도록 하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HTTP는 텍스트,이미지,영상,JSON 등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인터넷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며 80번
사용자가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해 URL을 입력하면 서버 내부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처리 해주어야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 방식인 대표적인 HTTP Method에는 GET방식과 POST 방식이 있다. HTTP Method란? 사용자가
도메인 > - 원래 지정된 인터넷 접속 주소를 다른 이름으로 바꾸어 준 주소 www(호스팅 주소) + 이름.com(도메인) -> 뒷부분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 -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 www.example.com을 IP 주소(네트워크
도메인 > - 원래 지정된 인터넷 접속 주소를 다른 이름으로 바꾸어 준 주소 www(호스팅 주소) + 이름.com(도메인) -> 뒷부분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 -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 www.example.com을 IP 주소(네트워크
동기(Synchronous)란 요청과 결과가 동시에 일어나는 방식으로 요청을 보낸 뒤 응답을 받아야 다음 동작이 진행된다. 작업이 실행될 때 해당 작업이 완료 될 때까지 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요청을 하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던지 요청한 자리에서 결과가 주어져야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암호키가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 암호화 기법이 대칭키 기법과 비대칭키(공개키) 기법으로 나뉘어 진다. 암호화 평문(plain text)을 암호문(Crypto text)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알아볼 수 없는 데이터로 변
블로킹(Blocking)이란? 위 사진 처럼 블로킹의 경우 A에서 B함수를 호출 할 때 제어권을 A가 B에게 넘겨준다. 그렇게 되면 A의 경우에는 제어권을 돌려받기 전까지는 실행을 멈추게 된다. 즉 자신의 작업을 진행하다 다른 주체의 작업이 시작되면 자신의 작업을 멈
웹 > -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간단히 줄여서 WWW나 W3라고도 부르며, 간단히 웹(Web)이라고 가장 많이 불린다. 인터넷과 같은 의미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정
1.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검색창에 www.youtube.com을 입력한다. 2. 웹브라우저는 캐싱된 DNS기록들을 통해 해당 도메인 주소와 대응하는 IP주소를 확인한다. 캐시는 네트워크 트랙픽 조절과 데이터 전송 시간을 줄여준다. 브라우저는 4가지 캐시를 확인한다.
클라이언트(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다.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한다.하나의 도메인 당 20개의 쿠키를 가질
HTTP상태코드란 HTTP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성공적으로 주고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코드이다. HTTP 상태 코드는 100번대에서 500번대까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 번호대별로 의미하는 것이 다르다. > #### 첫자
Stateless프로토콜과 Stateful한 프로토콜은 웹 서버와 브라우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이 프로토콜들은 서버 사이드에서 세션 및 세부 정보에 대해 추적 및 저장을 하는 지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 서버 사이드 : 서버(제공자) 측에서
IP(Internet Protocol) >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 IP주소는 IPv4, IPv6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IP 주소라 하면 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