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기본 용어

Lys·2023년 11월 20일
0

데이터베이스

목록 보기
2/18

Table(테이블)


행(ROW)과 열(Column)로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 집합으로 흔히 볼 수 있는 표라고 생각하면 된다.

행(ROW)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들 중 가로로 묶은 데이터셋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튜플(Tuple) 또는 레코드(Record)라고도 불린다.

열(Column)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들 중 세로로 묶은 데이터셋을 의미한다.
날짜,시간,제목 등등 하나의 특징들이 컬럼으로 나누어지며, 그 테이블의 속성을 의미한다. 속성(Attribute) 또는 필드(Field)라고도 불린다.

Index(인덱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대한 검색 성는의 속도를 높여주는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가 저장 된 물리적 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인덱스를 통해 테이블의 레코드에 대해 빠르게 엑세스 할 수 있다.

Entity(엔티티)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를 데이터 베이스 상에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상적인 개념을 말한다. 일종의 비유라고 할 수 있다.
식별자가 같지 않아야 한다.

Domain(도메인)


테이블의 컬럼 값을 구성할 때 속성의 값, 타입, 제약사항등에 대한 값의 범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성별에 대한 코드 속성이 있을 때 성별은 남/여 둘 중 하나가 된다. 0 = 남 1 = 여 로 정의했을 때 0,1값 외에는 사용할 수 없게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Degree(디그리 & 차수)


한 릴레이션 안에 있는 속성의 수를 말한다. 즉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컬럼 갯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 릴레이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 단위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Cardinality(카디날리티)

    릴레이션의 행(튜플)의 갯수를 말한다.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를 설계,생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테이블에 필요한 컬럼들의 타입과 네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구분한다.

  • 외부 스키마
    • 사용자 입장에서 정의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로 데이터들을 어떤 형식, 구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명세를 말한다.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여러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할 수 있다.
  • 개념 스키마(=전체적인 뷰)
    • 조직 전체를 관장하는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스키마이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모든 논리적 구조를 기술하기에 데이터베이스에는 하나만 존재한다. 통상 스키마라고도 부른다.
  • 내부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저장장치에 저장될 지에 관한 명세이다.
      물리적인 저장장치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관계를 정의하기에 시스템 프로그래머나 시스템 설계자가 보는 관점의 스키마이다.

🙇‍ 참고 사이트 🙇‍

https://cocoon1787.tistory.com/769
https://velog.io/@yejin20/DB-DB-%EC%9A%A9%EC%96%B4-%EC%A0%95%EB%A6%AC
https://korean-otter.tistory.com/212
https://dlwndms61.tistory.com/15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