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상호작용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매우 많다.1\. 프락시2\. 캐시3\. 게이트웨이4\. 터널5\. 에이전트애플리케이션이란, 기술, 시스템 및 제품 등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애플리케이션이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즉 응용프로그램의 줄임 말이다. 응용프로그램은
L7 : 응용계층L6 : 표현계층L5 : 세션계층L4 : 전송계층L3 : 네트워크계층L2 : 데이터링크계층L1 : 물리계층: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전산시스템을 공격하는 사용자에 대한 탐지 및 차단네트워크 Layer3 ~ Layer7 계층에서 IPS가 가지고 있는 취약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전 세계 웹 브라우저,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모두 이 HTTP를 통하여 서로 대화를 한다. 현대 인터넷의 공용어가 HTTP라고 보면 된다.우선, HTTP는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
URI(Uniformurce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이다.웹 서버 리소스들은 각자의 이름이 있다. 클라이언트는 관심있는 리소스를 지목 가능한데, 서버 리소스의 이름은 URI(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와 리소스를 주고받기 위해 http를 어떻게 사용할까?HTTP 트랜잭션은 요청 명령(클라이언트 -> 서버) 와 응답결과 (서버 -> 클라이언트) 로 나뉜다.이 상호작용은 "HTTP 메시지" 라고 불리는 정형화된 데이터 덩어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위
인터넷 내에서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해 HTTP 메시지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는데, 이 조각들을 패킷이라고 한다.TCP는 인터넷 상의 컴퓨터들 사이에서 데이터들을 HTTP 메시지 형태로 보내기 위해서 IP(Internet Protocol)과 함께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TC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
모든 http 통신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의 계층화된 집합인 TCP/IP를 통해 이루어진다.예시를 들겠다.ex) http://www.hello12321.com:80/index.html 위와 같은 링크가 있다고 가정하겠다.브라우저가 www.hell
1. HTTP 메시지란? 단순한 줄 단위의 문자열을 말한다. 이진 형식이 아닌 일반의 텍스트 형식이다. 웹 클라이언트 -> 웹 서버 :이 HTTP 메시지를 요청 메시지라고 부른다. 서버 -> 클라이언트 : 이HTTP 메시지를 응답 메시지라고 부른다. 이 외 다른 HT
컴퓨터는 항상 TCP 커넥션을 여러 개 가지고 있다. TCP는 포트번호를 통해 이런 여러 개의 커넥션을 유지한다.예를 들자면, 포트번호는 회사 직원의 내선전화와 같다. IP주소는 해당 컴퓨터에 연결되고, 포트번호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된다.TCP 커넥션은 4가지
전송계층은 프로토콜 내에서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인데,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요구 등의 제어를 담당합니다.이러한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바로 TCP와 UDP입니다.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 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개방된 시스템, 시스템 간의 상호 연결성을 부여하는 표준1980년대 네트워크 통신망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통신망이 혼재된 상태였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
네트워크의 정의 네트워크는 Net과 Work의 합성어로 컴퓨터와 같은 노드들이 통신 기술을 통해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통신을 하는 형태를 뜻하며, 데이터 및 리소스를 송신, 교환 또는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케이블(유선) 또는 WiFi(무선)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컴퓨터
서버 Server1\. 테니스, 탁구, 배구 등 서브를 하는 쪽, 또는 그 사람2\. 음식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3\.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와 같은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서버는 '제공한다'는 뜻을 가진 'serve'에 사람이라는
인터넷은 인간이 발명해 놓고도 이해하지 못하는 최초의 발명품이며, 역사상 최대 규모의 무정부주의에 대한 실험이다. \-에릭 슈밋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인터넷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라는 것이다.인터넷은 1960년대
도메인은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이다.DNS라는 시스템을 이용해서 IP와 도메인을 매칭한다.DNS란 웹사이트의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이어주는 환경/시스템이다.DNS 시스템 안에서 IP와 도메인 매칭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DNS 서버이다.DNS 서버와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는 데이터 통신에서 상위 계층이 전달한 데이터에 붙이는 제어정보를 뜻한다.모든 계층에서, 우리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라고 부를까? PDU를 알고난 후 부터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물론 데이터 자체는 동일하지만
네트워크 상에서 돌아가는 두개의 프로그램 간 양방향 통신의 하나의 엔드포인트(IP address와 Port 번호의 조합)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연결부통신할 두 프로그램(Client, Server) 모두에 소켓이 생성되야 함서버와 클
1.HTTP통신과 TCP통신의 개념 우선 HTTP통신과 TCP통신에 대해 알기전에 OSI 7 Layer와 프로토콜이란것에 대해서 알아 가도록 하겠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는 ISO(국제표준기구)에서 만든 네트워크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의 약자로, 2개 이상의 디스크를 병렬로 처리하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입니다. 과거에는 주로 용량이 작은 디스크들을 연결하여 디스크 용량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는데요. 요즘에는 디스크 성능 향
여러개의 하드디스크에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 중복 저장하는 방법복수의 hdd를 하나의 드라이브와 같이 인식시키거나 표시시키는 기술장점1. 어떤 hdd가 고장나도 그 hdd를 교환하면 바로 원래대로 데이터를 복구가능특정 hdd가 고장이 나도 다른 hdd는 문제 없
랜섬웨어는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입니다.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게 되거나, 저장한 사진과 문서 파일 등을 열 수 없게 됩니다.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하지 못하게 하여,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
HTTPS 는 SSL을 이용한 보안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SSL은 보안 통신을 하기 위한 보안용 프로토콜이다.HTTPS는 이 SSL로 통신을 암호화하는 HTTP의 보안버전이다. 따라서 SSL은 연결을 암호화하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용도가 HTTPS 인 것이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