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
이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 통신 규칙 세트 또는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사용자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하고 웹 서버는 HTTP 응답으로 응답합니다.
즉,하이퍼 텍스트는 하이퍼 링크(자료가 연결되어 있는 참조 고리를 의미)를 통해
사용자가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초월적인(Hyper) 글(Text)인 것이다.
전 세계 웹 브라우저,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모두 이 HTTP를 통하여 서로 대화를 한다.
현대 인터넷의 공용어가 HTTP라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다음과 같은 페이지를 열어본다고 가정하자.
"http://www.abcde.com/index.html"
웹 브라우저는 HTTP 요청을 www.abcde.com 서버로 보내게 된다.
서버는 요청받은 객체 (위 상황은 index.html) 을 찾은 뒤,
성공 시 그것의 타입, 길이 등의 정보와 함께 HTTP 응답에 실어 클라이언트로 보낸다.
리소스는 우선, 웹 서버와 웹 리소스가 관리를 하고 제공한다.
웹 리소스는 웹 콘텐츠의 원천으로, 가장 단순한 웹 리소스는 웹 서버 파일 시스템의 정적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정적파일은 텍스트파일, JPEG파일, html파일, avi동영상파일, 한글파일 등 모든 종류의 파일을 말한다.
그러나 리소스가 반드시 정적 파일일 필요는 없다.
이 "리소스"는 콘텐츠를 생산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리소스 즉, 동적 콘텐츠 리소스는 사용자가 누구인가, 어떤 정보를 요청했는가, 몇시인가 등에 따라서 다른 콘텐츠를 생성한다.
요약하자면, 어떤 종류의 콘텐츠도 리소스가 될 수 있다.
기업 판매 예측 스프레드 시트, 지역 공공도서관 서가 탐색 웹 게이트웨이 인터넷 검색엔진 등의 것들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인터넷은 수천 가지 데이터 타입을 다루는데, HTTP는 웹에서 전송되는 객체 각각에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 이라는 데이터 포멧라벨을 붙인다.
웹 서버는 모든 HTTP객체 데이터에 MIME 타입을 붙이고,
웹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객체를 돌려받을 때 다룰 수 있는 객체인지 MIME 타입을 통해 확인한다.
MIME 타입은 사선(/)으로 구분된 주타입(Primary Object Type) 과 부타입(Specific SubType) 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라벨이다. 예를 들어, HTML의 경우는 text/html 라벨이 붙고,
JPEG 이미지의 경우는 image/jpeg 라벨이 붙는다.
GIF 이미지는 image/gif 가 붙는다.
수백 가지의 잘 알려진 MIME 타입들이 있고, 실험용 혹은 특정 용도의 MIME 타입이 더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