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리눅스를 사용할 때 잘 알려진 배포판을 선택하는 것이 보통이다. 동일한 배포판이라도 상황에 따라 ROOT 계정 접속이 허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배포판들은 보안상의 이유로 기본적으로 SSH를 통한 ROOT 계정 접속이 비활성화 되어있다.
하지만 ROOT 계정으로 SSH에 접속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를 위해 SSH 설정을 변경하여 ROOT 계정으로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vi 편집기 또는 nano 편집기를 사용
root의 암호를 설정(변경)한다.
bash
sudo passwd root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SSH 설정 파일을 연다.
sudo vi /etc/ssh/sshd_config
OR
sudo nano /etc/ssh/sshd_config
파일이 열리면 PermitRootLogin 항목을 찾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주석 처리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석 처리된 줄의 주석을 제거하고 yes로 변경한다.
PermitRootLogin yes
파일을 저장하고 닫는다.
Vi: Esc 키를 누르고 :wq!를 입력한 후 [Enter]를 눌러 저장 및 종료
Nano: Ctrl + X를 누르고 변경된 사항을 저장하냐고 묻는 경우 [Y]를 눌러 저장 및 종료
SSH 서비스를 재시작하여 변경 사항을 적용한다.
sudo service ssh restart
이제 SSH ROOT 계정 접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보안 상의 이유로 이 방법은 테스트 목적으로 운영하는 로컬 가상서버와 같이 보안이 중요하지 않은 환경에서만 사용하고 가능한한 ROOT 계정 원격 로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계정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것이 좋다.
또, VPS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자동설치 기능을 이용해 사전 빌드된 OS를 설치하는 경우 편의를 위해 사전에 ROOT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ROOT 계정의 원격 접속이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비활성화 후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