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1차원, 다차원)
문자열
스택
큐
연결리스트
트리
하드웨어 환경에 따라 처리 시간이 달라진다.
소프트웨어 환경에 따라 처리시간이 달라진다.
이러한 환경적 차이로 인해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
시간 (또는 공간)복잡도는 입력 크기에 대한 함수로 표기하는데, 이 함수는 주로 여러 개의 항을 가지는 다항식이다.
이를 단순한 함수로 표현하기 위해 점근적 표기(Asymptotic Notation)를 사용한다.
입력 크기 n이 무한대로 커질 때으 ㅣ복잡도를 간단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기법
O-표기는 복잡도의 점근적 상한을 나타낸다.
ex> f(n) = 2n^2 - 7n + 4 => f(n)의 O 표기 : O(n^2)
O(1) : 상수 시간 (Constant time)
O(log n) : 로그(대수) 시간 (Logarithmic time)
O(n) : 선형 시간(Linear time)
O(nlogn) : 로그 선형 시간 (Log-linear time)
O(n^2) : 제곱 시간 (Quadratic time)
O(n^3) : 세제곱 시간 (Cubit time)
O(2^n) : 지수 시간 (Exponential time)
수를 셀 때, 자릿수가 올라가는 단위를 기준으로 하는 셈법의 총칭
일반적으로 10진법
시계는 12진법 / 60진법
컴퓨터는 2진법
원하는 타진법의 수로 나눈 뒤 나머지를 거꾸로 읽는다.
ex> (149)10 = (10010101)2 = (225)8 = (95)16




컴퓨터는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 고정 소수점(Fixed Point),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표기법을 사용한다.
고정 소수점 방식


위 사진의 0010011 : 가수부, 3 : 지수부

가수부(mantissa) : 실수의 유효 자릿수들을 부호화된 고정 소수점으로 표현한 것
지수부(exponent) : 실제 소수점의 위치를 지수 승으로 표현한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