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Git)과 깃허브(Github) / 깃허브 사용법

차윤하·2023년 9월 29일
2

깃(Git) & 사용하는 이유

깃은 소스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소스 코드를 수정하고 변경한 내용들을 자동으로 계속 기록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원래 잘 작동하는 소스 코드가 있는데, 거기에다가 다른 기능을 구현하고 싶어 이리저리 코드를 작성했다고 하자. 그러고 실행해보니 오류가 발생하거나, 원하는 대로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까?
이 때 작성했던 코드를 수정하거나 작성하기 이전의 잘 작성되었던 코드로 돌아가야 하는데, 어떻게 되돌릴 것이냐 복구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코드를 작성하기 전 백업을 해두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많은 코드들을 항상 백업해놓고 관리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Git을 통해 기록들을 계속 저장해두는 것이다.

깃 설치하기 Git - Downloading Package


깃허브(Github) & 사용하는 이유

위와 같이 깃은 소스 이력들을 계속 저장하고 관리하는 거라면,

깃허브는 이러한 깃들을 온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모아놓은 저장소이다.

동시에 여러 사람이 / 같은 버전의 소스를 / 서로 다르게 변경하게 된다면, 서로 버전을 알 수 없는 코드가 생기고 코드가 엉키기 쉽기 때문에 코드를 변경하고 관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각 사람들의 깃 버전을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서로 코드를 잘 알고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깃허브를 통해 여러 사람들과 코드를 공유하고 각각 소스 코드의 버전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러 사람과 협업해야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GitHub(깃허브) 사용법

깃허브에 소스 코드를 올리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소스 코드(project) —> staging area —> local repository —> remote repository

간단히 말하면 프로젝트를 업로드 하기 위해 3가지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프로젝트 폴더에서 open git bash here로 bash 창을 열고 명령어 를 입력을 할 준비를 한다.

1. Git 저장소 생성(init)

프로젝트 폴더에 로컬 저장소(.git)를 생성한다.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git 저장소가 생성된다. ‘.git 폴더’가 있는지 확인하고 업로드를 시작한다.

2. 임시 저장소에 추가(add)

git add 파일명

업로드하고 싶은 파일을 임시 저장소(staging area)에 추가한다.

3. 로컬 저장소에 저장(commit)

git commit -m "commit 메세지"

임시 저장소에 있던 깃을 로컬 저장소(.git)로 저장한다. 저장할 때 변경 사항과 같은 설명들을 메세지로 남길 수 있다.

4.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깃허브 repository) 연결(remote)

git remote add origin github repository

repository url은 repository에 code 밑에 나와있다.

5. 원격 저장소에 저장, 업로드(push)

git push -u origin master(main)

이러면 원격 저장소 깃허브에 코드를 성공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토큰 발급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를 할 때 토큰을 입력하라고 나온다. 이때 당황하지 않고 토큰을 발급 받으면 된다. 설정에서 맨 아래 Developer Settings 에서 다음과 같이 Generate new token을 통해 발급 받을 수 있다.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 Tokens(classic) > Generate new token

profile
풀스택 개발자가 되고 싶은 꿈나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