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서의 실수 표현

이유석·2022년 1월 4일
1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고정 소수점부동 소수점 두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고정 소수점 (Fixed Point)

  • 소수점이 찍힐 위치를 미리 정해놓고 소수를 표현하는 방식 (정수 + 소수)

  • 실수를 표현 하기 위해, 부호, 정수부, 소수부 3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 장점
    실수를 정수부와 소수부로 표현하여 단순하다.

  • 단점
    표현의 범위가 너무 적어서 활용하기 힘들다.
    (정수부는 15bit, 소수부는 16bit)

  • 높은 정밀도가 필요 없는 소규모 시스템에서는 간혹 쓰인다.

부동 소수점 (Floating Point)

  • 실수를 가수부 + 지수부 로 표현한다.
    가수 : 실수의 실제값 표현
    지수 : 크기를 표현함. 가수의 어디쯤에 소수점이 있는지 나타냄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 장점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
    (현재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활용 중)

  • 단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부동 소수점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다양함)

부동 소수점 방식의 오차

  • 부동 소수점 방식에 의한 실수의 표현은 항상 오차가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음

  • 실수를 a*2^b 형식으로 저장 한다. (1 ≤ a < 2 인 실수)

    ±(1.가수부)×2^지수부-127

  • 가수부의 부분이 2진수로 표현하게 되면 무한 소수로 표현되게 되어 메모리 범위를 벗어날시, 해당 데이터가 사라지게 되므로 실제 수와 오차가 생겨나게 된다.
profile
소통을 중요하게 여기며, 정보의 공유를 통해 완전한 학습을 이루어 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