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와 REST API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소통할 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백엔드도 프론트엔드도 필수로 알아야 하는 개념입니다!우선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무엇일까요?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1.트러블슈팅, 무엇인가?트러블 = 뭔가 문제가 있다.슈팅 = 해결하자흰화면은 느리다는 것이다.느린걸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끼?문제를 잘 쪼개는 것이 중요하다.잘 쪼개려면 알고리즘을 이용해야한다.알고리즘을 통해 우리는 두가지 기준을 배웠스니다.시간복잡도(계산을 어덯게하
1일차 1) 디자이너님께 피그마 댓글을 통해서 수정할 부분을 전달드렸다. 2) 상기매니저님 1:1 면담을 했다. 면담내용 트러블슈팅은 몰랐던 내용을 공부해서 해결한 내용보다는 일단 완성을 하고 일단 되는데 이렇게하면 안될거 같은데?하는 부분을 수정하는것이다. 다른
1일차 1) 새로운 팀원 성원님 등!장! 어제 자려고 노트북껐다가 현수막을 깜빡해서 만들어두고 다시 잤다. 팀원생겨서 너무 신나서 돌아다니면서 춤추고 노래했는데 마이백추다가 성현님한테 들켰는다. 이제 챙길 이미지가 없다 ^^.. 2) 어제 만들어 둔 아이디어와 성원님
1일차 1) 근영님이 내주신 아이디어 냉장고관리 기획을 토대로 피그마로 와이어 프레임을 만들었다. 말씀해 주신 내용을 기반으로 틀을 만들어 놓고 팀원들과 상의를 하면서 추가 및 수정을 해보았다. 백엔드 분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셔서 어느정도 내용은 정리 되었다. 2
howis (Wadiz 클론 코딩)FE : 박태형, 손유정BE : 김규관, 서만원, 신상우 (BE GitHub : https://github.com/Luwin-Seo/clone6_backend )프로젝트 소개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Wadiz 클론 코딩프로젝트 기
1) 미니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할 때 개발자를 위한 지식in이 어떤지 의견을 내봤는데 팀원분들이 선택해주셔서 채택되었다..!2) 주제를 선택하고 핀터레스트에서 대쉬보드 디자인을 골라 와이어프레임과 ui를 이런 방식으로 하는게 어떤지 제안했다.3) 피그마를 이용해서 와이
1일차 1)일요일을 항해톡 준비로 보냈다 ^^.. 백만년만에 열어본 ppt..ㅎ.. 2)주말에 12조 팀원들에게 프론트엔드 용어 스터디를 하자고 제안했다. 물론 항해를 진행하다보면 알게되는 부분도 있겠지만 한번 봤던걸 한번 더 보면 기억에 더 잘 남을테니까! 프론트
1일차 1) CS 스터디 조가 짜여졌다. 1일 1로그 100일 완성 IT 지식이라는 책을 하루에 한 챕터씩 읽고 공부하기로 했다. 아직은 어려운 단어들이 많은데 얼른 다 배워서 똑똑이가 되고 싶다!! 2) 알로리즘 스터디도 조금씩 실력이 늘고 있긴한데 오늘 팀원분이
DOM은 html 단위 하나하나를 객체로 생각하는 모델이다.예를 들면 'div'라는 객체는 텍스트 노드, 자식 노드 등등, 하위의 어떤 값을 가지고 있다. 이런 구조를 트리 구조라고 한다. DOM이 트리구조라는 뜻이다.DOM트리 중 하나가 수정될 때마다 모든 DOM을
1)서버와 클라이언트 1.웹의 동작 개념(HTML을 받는 경우) 웹페이지는 서버에서 미리 준비해두었던 것을 "받아서", "그려주는" 것입니다. 즉 브라우저가 하는 일은 1) 요청을 보내고, 2) 받은 HTML 파일을 그려주는 일뿐이다. 1) 요청은 서버가 만들어 놓은
1일차 팀원들과 첫만남! 프로젝트 주제를 정하면서 관심사 얘기를 했는데 덕밍아웃해버렸다.. 머쓱 ^^; 관심사를 주제로 프로젝트 주제를 정하고 페이지별 기능을 정한다음 공평하게 사다리타기로 기능을 분담했다.ㅋㅋ 와이어프레임을 그리고 각자 html+css를 구현하기로 했